-
South Korea Hosts First APEC 2025 Food Security Policy Meeting in Gyeongju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osted the first APEC (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Food Security Policy Working Group meeting of 2025 from March 4 to 6 at the HICO Convention Center in Gyeongju. This marks a significant year for South Korea, as it holds the APEC chairmanship for the first time in 20 years. In this role, South Korea will organize key APEC meetings, including the Leaders’ Summit, Senior Officials’ Meetings, and various ministerial conferences, across different cities such as Gyeongju, Incheon, and Jeju. The three-day meeting brought together approximately 120 participants from 21 APEC member economies to evaluate previous achievements and establish the theme for the upcoming 2025 APEC Food Security Ministerial Meeting (FSMM). The selected theme, "Driving Innovation in Agri-Food Systems for Shared Prosperit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olicy and institutional innovation, including advancements in agricultural technology. The discussions also covered progress on the APEC 2030 Food Security Roadmap and included deliberations on amending the operational guidelines of the Food Security Policy Working Group, which are set to expire this year. As preparations continue, the Food Security Ministerial Meeting (FSMM) is set to take place in August in Songdo, Incheon. During this meeting, agricultural ministers from APEC member economies will share agri-food innovation strategies and explore collaborative approaches to strengthening regional food security. They will also consider adopting a joint declaration to reinforce these efforts. In preparation, working-level officials will hold virtual meetings and a second policy working group session to refine the agenda and key discussion points. On March 4, the first day of the meeting, participants visited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one of Korea’s most well-preserved traditional rural villages. Recognized as both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 189 and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Yangdong Village features historical hanok (traditional Korean houses) and thatched-roof homes dating back to the Joseon Dynasty. Delegates were greeted with a samulnori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performance and explored the village, experiencing the charm of Korea’s historical rural lifestyle. They also engaged in hands-on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making tteok (Korean rice cakes) and yeot (traditional Korean taffy), providing them with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s rich food culture. Jung Hye-ryeon, Director General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t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the event, stating, “Hosting APEC 2025 provides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participants to experience the beauty and cultural value of Korea’s rural areas firsthand. We will make every effort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August Food Security Ministerial Meeting and deliver tangible outcomes that contribute to food security in the Asia-Pacific region.” With South Korea hosting APEC 2025, the discussions and initiatives set forth in these early meetings will shape the region’s agricultural and food security policies for years to come. The upcoming FSMM in August will serve as a platform to foster deeper collaboration among APEC member economies, ensuring that innovation and shared prosperity remain at the forefront of food security discussions.
-
외교부,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수석대표회의 주재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수석대표회의 [리더스타임즈] 강인선 외교부 2차관은 3월 4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inerals Security Partnership, MSP) 수석대표회의를 주재했다. 이번 MSP 수석대표회의는 세계 최대 광업 행사인 캐나다 국제광업인 연차총회(PDAC, Prospectors & Developers Association of Canada) 계기 개최됐다. 의장국인 우리나라를 비롯한 15개 MSP 회원국 수석대표들은 2025년 MSP 활동 방향과 구체성과 촉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이번 회의에는 벨기에, 폴란드, 뉴질랜드가 옵저버로 처음 참여했다. 강 차관은 의장 모두발언을 통해 세계적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핵심광물 공급망을 안정화하고 다변화하기 위한 MSP 협력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특히, MSP 프로젝트 광종 확대와 금융 투자 증진을 통해 핵심광물 공급망 교란 가능성 등에도 대비해 나가자고 했다. 핵심광물을 채굴, 가공, 또는 재활용하는 MSP 프로젝트는 8개월 전 23개에 비해 현재 39개로 증가했다. 강 차관은 앞으로도 MSP 프로젝트를 확대·촉진시켜나가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회원국들은 이번 회의에서 변화하는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대외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 간 협력 강화가 더욱 필수적이라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이와 관련, 규제절차 간소화, 금융 지원 협력 강화 등을 포함 MSP 프로젝트 성과를 가속화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지속 고민하기로 했다. 광업기업들이 투자 유치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정책지원 전략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에 회원국들은 각국 MSP 프로젝트 투자에 활용 가능한 금융 지원 정책을 상호 공유해나가기로 했다. MSP 수석대표회의에 이어, 강 차관은 토론토 샹그릴라 호텔에서 주토론토대한민국총영사관, 한국광해광업공단이 공동 주최한 ‘제3차 한-캐 핵심광물 네트워킹 리셉션(Supply Chain Synergy: Korea and Global Critical Minerals Collaboration)’에 참석했다. 강 차관은 축사를 통해 캐나다는 한국의 6위 핵심광물 공급국이자 4위 투자대상국으로서, 우리 전기차 배터리 및 부품 기업들이 온타리오, 퀘백 등 지역에 활발히 진출하는 등 캐나다는 우리나라의 핵심적인 경제안보 파트너 국가임을 강조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캐나다측 지방 정부 인사 및 광업 기업들과 우리의 진출기업 간 네트워크가 더욱 강화돼 핵심광물 관련 실질 비즈니스 기회가 더욱 창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
South Korea Strengthens Diplomatic Ties at G20 Foreign Ministers’ Meeting
Foreign Minister Cho Tae-yul attended the G20 Foreign Ministers’ Meeting held on February 20-21 in Johannesburg, South Africa, where he engaged in bilateral talks with key European and African partners. Among those he met were EU High Representative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Policy Kaja Kallas, Dutch Foreign Minister Caspar Veldkamp, Spanish Foreign Minister José Manuel Albares Bueno, South African Foreign Minister Ronald Ozzy Lamola, and Algerian Foreign Minister Ahmed Attaf. These discussions covered a range of issues, including bilateral relations, practical cooperation, and regional and international affairs. During his meeting with High Representative Kallas, Minister Cho acknowledged the steady expansion of the Korea-EU Strategic Partnership, particularly through initiatives such as the Green Partnership and Korea’s accession as an associate country to Horizon Europe. Kallas reaffirmed the EU’s commitment to its partnership with Korea, emphasizing the country’s role as a strategic ally and a leader in the defense industry. Both sides agreed to continue discussions on implementing the Korea-EU Security and Defense Partnership, following up on their previous agreement during a phone call on January 22. They also pledged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economic and scientific-technical fields. In his first bilateral meeting with Dutch Foreign Minister Veldkamp, Minister Cho reviewed the progress made in Korea-Netherlands relations, which were elevated to a Strategic Partnership in 2022 across diplomacy, security, and economic sectors. Veldkamp praised Korea’s efforts to stabilize its domestic situation through democratic processes and expressed hope that this would further strengthen their bilateral ties. The two ministers also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establishing a Semiconductor Alliance by convening the newly established Foreign and Industry Ministers’ (2+2) Dialogue at an early date. Additionally, as the Netherlands prepares to host this year’s NATO Summit, both sides agreed to bolster cooperation on the international stage. In his meeting with Algerian Foreign Minister Attaf, Minister Cho highlighted the significant progress in bilateral relations, pointing to increased high-level exchanges and record-breaking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reached $3.9 billion. He also called on the Algerian government to support Korean businesses operating in Algeria, addressing some of the challenges they face. Minister Attaf expressed appreciation for Korea’s contributions to Algeria’s construction and infrastructure sectors and pledged his government’s full support for Korean businesses. He further emphasized the potential for deepening bilateral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defense and startups. The two ministers agreed to collaborate closely on international issues, particularly as both South Korea and Algeria serve as non-permanent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this year. The bilateral meetings with the foreign ministers of South Africa and Algeria underscored South Korea’s commitment to strengthening its diplomatic ties with key African nations and enhancing cooperation with the Global South. These discussions reinforced the country’s efforts to expand its global engagement and build meaningful partnerships in critical regions.
-
조태열 외교장관, 연쇄 양자회담 개최
조태열 외교장관 [리더스타임즈] G20 외교장관회의(2.20.-21.,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 참석 중인 조태열 외교장관은 2월 21일 '카야 칼라스(Kaja Kallas)'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카스파 벨트캄프 네덜란드(Caspar Veldkamp)' 외교장관, '호세 마누엘 알바레스 부에노 (José Manuel Albares Bueno)'스페인 외교장관, '로날드 오지 라몰라(Ronald Ozzy Lamola)' 남아공 외교장관, '아흐메드 아타프(Ahmed Attaf)'알제리 외교장관 등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 주요 파트너들과 양자회담을 갖고 ▴양자관계 ▴실질협력 ▴지역·국제정세 등에 대해 논의했다. 조 장관은 칼라스 EU 고위대표와의 양자회담에서 한-EU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그린 파트너십, 호라이즌 유럽 준회원국 가입 등을 통해 확대 발전되고 있음을 평가했고, 칼라스 고위대표는 EU의 전략적 파트너이자 방산 강국인 한국과의 협력을 중시하고 있다고 했다. 양측은 지난 통화(1.22)에서 합의한 대로 한-EU 안보방위파트너십 이행을 위해 지속 협의해 나가기로 하는 한편, 경제·과학기술 분야 등 실질협력 분야 협력을 위한 노력도 계속하기로 했다. 이어서 조 장관은 벨트캄프 네덜란드 외교장관과 첫 양자회담을 갖고, 양국이 외교·안보·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22년 격상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시켜 나가고 있음을 평가했다. 벨트캄프 장관은 전략적 동반자인 한국이 민주적 절차에 따라 국내상황을 안정화시켜 나가는 것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양국간 파트너십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아울러 양 장관은 '23년 신설된 외교·산업(2+2) 장관회의의 조속한 개최 등을 통한 양국간 ‘반도체 동맹’ 구축을 위해 지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으며, 금년도 NATO 정상회의 개최국인 네덜란드와 국제무대에서의 협력을 강화해 가기로 했다. 조 장관은 알바레스 스페인 외교장관과의 회담에서 수교 75주년을 맞이하는 양국 관계가 심화되고 있음을 평가하고, 양국간 실질 협력 증진을 위해 전략대화, 경제 공동위 등 양국간 주요 협의체를 활성화해 나가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중남미 등 제3국 공동진출 방안을 논의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알바레스 장관은 공감을 표하고 금년 주한스페인문화원 개설 계기, 고위급 방한, 한-스페인 포럼 연계 개최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수교 75주년을 기념할 수 있도록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했다. 조 장관과 EU, 네덜란드, 스페인 외교장관은 우크라이나 전쟁 및 종전협상 동향, 미국 신행정부 출범 후 대미관계, 한반도 정세, 러북 불법 군사협력, 인태지역 글로벌 정세 등 공동 관심사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했으며, 향후에도 주요 국제이슈에 대해 긴밀하게 소통하며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조 장관은 라몰라 남아공 장관과의 회담에서 G20 외교장관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축하하고 남아공이 올해 G20 의장국으로서 많은 성과를 거두길 바란다고 했다. 라몰라 장관은 금번 회의에 한국이 참석한 것에 사의를 표하고,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 지대(AfCFTA),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등 아프리카 내 국제무대에서도 양국 협력이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양 장관은 고위급 교류와 함께 교역, 투자 등 제반 분야에서 한-남아공간 실질 협력이 증진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조 장관은 남아공이 우리의 아프리카 최대 교역국이자 아프리카 진출 관문임을 강조하면서, 남아공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에 대한 남아공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조 장관은 아타프 알제리 장관과의 회담에서 양국이 활발한 고위급 교류 뿐만 아니라 양국간 교역이 역대 최대 규모(39억불)를 기록하는 등 최근 양국 관계의 발전을 평가하면서, 알제리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들에 대한 알제리 정부의 지원을 당부했다. 아타프 장관은 건설·인프라 분야에 있어 한국의 기여에 사의를 표하고, 한국 기업들의 알제리 내에서의 원활한 기업 활동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하는 한편, 방산, 스타트업 등 분야에서도 양국간 협력이 심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양 장관은 양국이 모두 올해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 북한, 중동 문제 등 국제 이슈들에 있어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남아공, 알제리 외교장관과의 양자 회담은 우리의 아프리카 주요협력국인 두 국가와의 양자관계를 강화하고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을 증진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
한국, 2025년 믹타 의장국 수임-21D
제27차 믹타 외교장관회의 [리더스타임즈] 조태열 외교장관은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중인 G20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계기에 2월 20일 11:00-12:00(현지시간)'제27차 믹타(멕시코(Mexico), 인도네시아(Indonesia), 한국(Korea), 튀르키예,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의 5개국으로 국가 간 협의체이다. 각 나라의 첫 영문자를 조합하여 '믹타(MIKTA)')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여, 믹타회원국들과 최근 글로벌 정세 속에서 믹타의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향후 1년간 믹타 의장국으로서 우리의 활동 방향과 중점의제 등을 소개했다. 조 장관은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되고 무력 분쟁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잊어서는 안 될 것은 바로 그 속에서 고통받는 ‘사람’이라고 강조하고, 현재 전 세계 3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인도적 지원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장관은 믹타가 역량과 책임감을 갖춘 범지역적 협의체로서 이들에 대해 계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특히 가자, 우크라이나, 수단, 콩고민주공화국, 아이티 등지에서 계속되는 분쟁에 우려를 표하면서,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한 믹타 회원국들의 노력을 촉구했다. 조 장관은 북한의 불법 무기 지원 및 파병 등 러·북 간 군사협력이 우크라이나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북한이 이러한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복귀하도록 믹타 회원국들이 함께 촉구할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조 장관은 오늘날 다자주의의 위기 속에서도 믹타가 출범한 이후 12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다자협력 확대에 건설적으로 기여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이를 위해 믹타 회원국들이 △올해 유엔 창설 80주년을 맞아 다자주의를 지지(advocacy)하는 데 앞장서고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구체 협력사업을 이행(action)하며 △시급한 전지구적 문제 해결을 위해 첨단기술(advanced technology)을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어, 조 장관은 지난 1년간 멕시코의 믹타 의장국 활동 성과를 평가하고, 우리나라가 2025년 2월부터 1년간 제12대 믹타 의장국으로서 믹타 회원국간 협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유엔 창설 80주년이자 SDGs 이행 목표 달성을 5년 앞둔 금년에 믹타가 행동 지향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우리 의장국 수임 기간 중 △평화구축 △청년 역량 강화 △SDGs 이행 가속화를 중점의제로 선정하고 활동해 나갈 계획임을 설명했다. 참석한 믹타 외교장관들은 불확실한 국제 정세 속에서 범지역적 협의체인 믹타가 다자주의에 기반하여 국제협력을 추동할 수 있는 유용한 플랫폼이라는 데 공감했다. 아울러 가자, 우크라이나 등 각지에서의 인도적 위기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면서 인도적 지원 확대 필요성에 공감하고, 국제사회의 지속가능한 평화와 번영 달성을 위한 믹타 공동의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는 데 뜻을 함께 했다. 또한 참석자들은 우리 정부의 의장국 활동 계획이 시의적절하게 수립된 것으로 평가하고, 우리 의장국 수임 기간 동안 믹타가 소기의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한편, 믹타 장관들은 금번 회의시 가자 사태, 우크라이나 전쟁, 시리아 상황, 북한 문제를 포함한 국제 현안 대응 의지를 강조하고, 민주주의ㆍ국제법ㆍ다자주의 증진 등 믹타 핵심 원칙을 재확인하는 공동 코뮤니케(약정, 협정, 협약)를 채택했다. 특히, 공동 코뮤니케에서 믹타 회원국들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및 탄도미사일 발사에 중대한 우려를 표하고, 북한이 모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믹타 회원국들은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평화적으로 이루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주목했다. 금번 회의는 범지역적 협의체인 믹타 외교장관들이 함께 모여 다자주의 강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발신하고 구체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믹타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금번 회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믹타 의장국으로서 다자주의 강화와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믹타의 노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투데이 HOT 이슈
- 2025 유엔참전국 글로벌 아카데미 14일 발대 40개 학교 참여
- 2024 유엔참전국 글로벌 아카데미 우수 사례(동강중학교는 2024년 10월 벨기에에 있는 룩셈부르크/리에주 참전기념비와 제3 공수부대 내 한국전쟁 기념관을 방문하고, 유엔참전용사 ‘레옹보스케’가족을 만나 유엔 참전병들의 이야기를 직접 듣고 교류학교 학생들과 공동수업을 진행했다.) [리더스타임즈] 6·25전쟁을 매개로 국내학교와 유엔참전국 학교 간 교육·교류를 진행하는 ‘유엔참전국 글로벌 아카데미’가 발대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국가보훈부는 14일 오후, 서울 플라자 호텔(중구)에서 강정애 장관과 국내 40개 초·중·고등학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5 유엔참전국 글로벌 아카데미’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참여학교들을 대상으로 사업설명과 우수사례 발표, 그리고 글로벌 아카데미 홍보와 참여학교 모집 등에 기여한 우수교육청(경기도교육청, 경상북도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관계자들에게 장관 표창을 수여할 예정이다. 글로벌 아카데미는 국내학교와 유엔참전국 학교 간 온·오프라인 공동 수업과 초청행사 등의 상호 교육과 교류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국가보훈부는 6·25전쟁 정전 70주년인 2023년 제도화를 통해 지원을 시작했다. 첫 지원이 시작된 2023년에는 국내 22개 학교, 2024년에는 30개 학교에 이어 올해는 초등학교 8개교, 중학교 8개교, 고등학교 24개교 등 총 40개 학교가 참여한다. 글로벌 아카데미는 지난 2년 동안 태국과 인도 학생 60여 명과 함께 유엔참전용사의 이야기를 담은 ‘평화의 책’을 발간(부산 만덕초)하고, ‘상호 글로벌 리더십 프로젝트 및 이슈 해결’을 과제로 홈스테이와 글로벌 이슈 토론(경기 고양 국제고), 6·25참전국 사진전과 벨기에·룩셈부르크 참전용사 가족 방문(충남 서천 동강중) 등 미래세대 간 교류와 유엔참전의 의미와 가치를 계승하는 의미 있는 활동들이 진행됐다. 특히, 올해는 국내 참전용사와 유엔참전용사 인터뷰, 참전 기록 등의 자료가 수록된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와 ‘추모의 벽(Finding heroes) 앱’ 등의 교육자료를 제공할 예정으로, 더욱 내실 있는 교류가 기대된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국가보훈부는 유엔참전국과의 소중한 인연을 미래세대로 계승하고 강화해 나간다는 취지에 맞게 ‘글로벌 아카데미’ 사업을 의미 있게 추진하고 향후 더 많은 학교가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포토슬라이드1 / 3
경제
-
베트남 남부 핵심 물류거점 연짝 공단 내 민관 합동 복합물류센터 조성 추진
착공 예정 부지 [리더스타임즈] 해양수산부는 베트남 현지시각으로 2025년 3월 19일 베트남 동나이성에 위치한 연짝(Nhon Trach) 6공단 부지에서 복합물류센터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착공하는 복합물류센터는 부지면적 55,553㎡(16,804평, 축구장 7.7개 면적), 연면적 26,168㎡(7,916평, 축구장 3.6개 면적) 규모의 물류센터 2개 동(상온물류센터 1개 동, 저온물류센터 1개 동)으로 조성되며, 오는 2026년 5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본 프로젝트는 한국해양진흥공사의 ‘글로벌 물류공급망 펀드’를 통해 롯데글로벌로지스의 베트남 공동물류센터 조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물류센터가 위치할 동나이성 연짝 공단은 호치민, 나트랑 등 주요 시장과 인접하고 깟라이 항, 까이멥 항, 롱탄국제공항 등 주요 교통망과 연계된 베트남 남부 권역의 물류 중심지이다. 특히, 연짝공단에는 우리나라 대형 및 중소형 화주들이 밀집해 있어, 물류센터 완공 시 우리 수출입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예졍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베트남은 높은 경제성장률과 우수한 교역환경을 보유하여 우리 기업들이 활발히 진출해 있는 시장으로, 공동 물류센터 조성은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에게 든든한 지원이 될 것”이라며 “해양수산부는 앞으로도 우리 기업에 경쟁력 있는 물류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오이 병해충 친환경 방제 미생물 실용화
Bt IMBL-B9 수화제의 오이 온실 약효 평가 [리더스타임즈] 농촌진흥청은 전남대학교, 서울대학교 연구진과 협력해 오이 병해충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미생물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이전해 실용화했다. 이번 연구는 화학농약 사용을 최소화하고 작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병해충 방제법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5년 동안 추진한 ‘잔류농약 저감을 위한 미생물 활용기술 개발’ 과제에 따른 것이다. 오이는 국내 시설재배 작물 중 농지면적당 소득액이 높은 대표적인 고소득 작물이다. 토양 내 병원균으로 모잘록병, 덩굴쪼김병, 탄저병 등이 주로 발생한다. 이들 병에 걸리면 뿌리와 줄기, 잎이 상하고 생장 저해, 말라 죽음 등 피해가 생긴다. 현재 대부분 화학농약으로 병원균을 제거하고 있으나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방제 방법이 필요하다. 농촌진흥청 연구진은 세균 1,720종, 방선균540종을 분석해 오이 탄저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 2종(슈도모나스, 방선균)을 발굴했다. 이들 미생물은 병원균 성장을 방해하는 항균활성물질을 만들며, 탄저병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병에도 적용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전남대학교 연구진은 모잘록병, 덩굴쪼기병 방제 능력이 뛰어난 방선균을 발굴해 종자코팅제와 분말수화제를 개발했다. 종자코팅제는 미생물이 오이 종자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해 병원균 감염을 70% 이상 예방하고 안정적인 초기 생육을 돕는다. 분말수화제는 화학농약과 비슷한 수준으로 병 발생을 억제한다. 오이 농가에서는 병 외에도 검거세미나방, 열대거세미나방 등 나방류 해충으로 피해가 자주 발생했다. 화학 살충제는 오래 사용하면 저항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서울대학교 연구진은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Bt)를 활용해 해충 방제 기술 기반을 마련했다. 이 균주는 해충에 패혈증을 일으키는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연구진이 이 균주의 내독소 단백질 생산량은 최대 100%까지 늘리는 최적의 대량 생산 조건을 확립한 것이다. 이 균주는 오이의 주요 나방류 해충뿐만 아니라 시설재배지와 산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나방류 해충 방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연구진이 이들 미생물을 기술이전해 제제화한 후 시험 재배지에서 검증한 결과, 탄저병은 43~56% 감소했다. 오이 모잘록병은 무처리구보다 73%, 덩굴쪼김병은 최대 80% 방제 효과가 있었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Bt) 미생물제의 배추좀나방 살충활성은 무처리구보다 61.6% 높았다. 이들은 시험 재배지 검증 후 제품화돼 올해 하반기부터 농업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에 논문으로 게재됐으며, 국내외 산업재산권도 총 10건 출원했다. 또한, 산업체에 기술이전해 ‘오이 병 방제용 미생물 분말수화제’, ‘종자처리제’ 제품이 등록 절차를 밟고 있다. 나방해충 방제 미생물은 유기농업자재로 공시됐고,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신기술로 인증받았다.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과 김상범 과장은 “앞으로 오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물에 적용할 수 있는 미생물 기반 병해충 방제 기술을 확대 개발해 종합관리체계 구축에 나설 것이다.”라며, “환경친화적인 기술이 농업 현장에서 널리 활용돼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이로운 변화를 가져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수산 부산물의 재발견: 무릎 연골 재생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등 국산화 기술 확보
브라질 수출 업무협약식 [리더스타임즈] 해양수산부는 3월 17일 수산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과 기능성화장품을 상용화하여 국내 백화점 50여 곳과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50만 달러 수준의 수출계약까지 체결하는 등 산업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생선의 머리, 해조류 뿌리 등 수산부산물 고부가가치 상품화(의약·식품 원료, 화장품 소재 등)를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산업화하기 위해 2022년부터 ‘해양수산부산물 바이오 소재화 기술개발(2022~2027)’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동 사업에 따라 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오철홍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한국식품연구원(KFRI), ㈜오건에코텍과 공동으로 연어 부산물(특히 수컷의 생식소와 머리 등)을 활용해 ‘피디알엔(PDRN,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과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국산화 기술을 개발했다. 피디알엔과 프로테오글리칸은 바이오의약품, 기능성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외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소재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 가능한 블루푸드·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산화 기술 개발이 우선 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이번에 개발된 공정은 기존 기술과 달리 에탄올 추출 공정 대신 특허받은 친환경 공정을 적용해 위험물관리법, 소방법, 건축법의 적용을 받는 에탄올 추출실이 필요 없게 됨에 따라, 생산성뿐만 아니라 가격경쟁력까지 갖춰 산업화에서도 장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작년에 ㈜오건에코텍은 피디알엔과 프로테오글리칸의 추출 관련 특허를 등록(국내·외)했고, 화장품(멀티밤), 삼푸, 연골재생 건강기능식품 등 상용화 제품을 출시(전국 백화점 50개 매장에 공급계약)했다. 최근에는 브라질의 기업과 50만 달러의 수출계약(분말원료)을 체결했으며, 생산 소재인 피디알엔과 프로테오글리칸의 활용처에 대한 추가 협의도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국산화 기술의 산업적 생산성을 높이고 공급단가를 안정화하기 위해 표준생산공정과 신규 소재 개발에도 착수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수산물 소비량이 많은 국가인 만큼 막대한 양의 수산부산물이 발생하고 있어, 부산물을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수산부산물을 고부가가치 원료로 전환하는 연구를 확대해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산업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
산뱀딸기에서 노로바이러스 억제 효능 발견
산뱀딸기(Duchesnea chrysantha) [리더스타임즈]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식물인 산뱀딸기에서 노로바이러스(norovirus)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성분을 확인하고 후속 연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뱀딸기(Duchesnea chrysantha)는 우리나라 전역의 산과 들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자생식물로 땅 위에 길게 뻗어 자라는 특징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6월에 익는다. 뱀딸기(D. indica)와는 다른 식물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23년부터 연세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자생 생물자원 활용 연구를 추진했고, 지난해(2024년) 말 산뱀딸기 추출물을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면역세포에 처리한 결과, 노로바이러스가 최대 97% 억제되고 면역세포의 생존율이 33% 향상됨을 확인했다. 또한, 산뱀딸기 추출물을 먹인 동물에게 노로바이러스를 감염시켰을 때 장내 노로바이러스가 61% 억제되는 것도 확인했다. 이에 연구진은 올해 3월 특허 출원을 마쳤고, 향후,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겨울철 매년 반복됨에도 딱히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었던 노로바이러스 감염 예방의 단초를 자생식물로부터 얻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라며, “관련 특허 기술이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활용되어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생물산업계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치
-
이만규 대구시의장, “국립초등학교 신입생 모집 시 다자녀 혜택 대폭 확대해야”
이만규 대구시의장, “국립초등학교 신입생 모집 시 다자녀 혜택 대폭 확대해야” [리더스타임즈] 대구시의회 이만규 의장이 제출한 '국립초등학교 다자녀 입학전형 확대 건의안'이 2월 20일,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2025년 제1차 임시회에서 원안 가결됐다. 「초·중등교육법」에 따르면 국립학교는 국가가 설립·경영하는 학교 또는 국립대학법인이 부설하여 경영하는 학교로, 초등학교의 경우 전국에 17개의 국립초등학교가 있다. 공립초등학교와 달리 국립초등학교는 원서 접수 후 추첨하는 절차를 통해 입학 대상자가 결정되는데, 다양한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우수한 교육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비 또한 무료여서 높은 선호를 보인다. 실제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곳의 국립초등학교의 경우, 2025학년도 신입생 원서 접수 결과 모두 경쟁률이 30대 1을 넘었으며, 지방에서도 1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보인 학교들이 있을 만큼 인기가 높다. 그러나 지역 소멸을 넘어 국가 소멸을 걱정해야 하는 국가적 인구 위기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국립초등학교 신입생 모집에 있어 다자녀가구에 부여되는 혜택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2025학년도 신입생 모집 요강을 보면, 다자녀 입학전형을 실시하는 국립초등학교는 6개교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마저도 특별전형으로 매우 적은 인원을 모집하는 실정이다. 그 결과 다자녀 전형 경쟁률이 일반전형 경쟁률보다 높았으며, 많게는 3배가량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이만규 의장은 “특별전형 접수자가 특별전형 추첨에서 선발되지 못한 경우, 일반전형에서 추첨의 기회를 다시 부여하는 것도 다자녀를 우대하는 방식이 될 수 있는데, 모집 요강을 보면 이에 대한 시행 여부가 학교마다 상이한 실정으로 이 또한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저출생과 인구 감소는 국가의 존망이 걸린 문제라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출산을 장려하고 다자녀가구에 대한 혜택을 늘려가는 시대적·정책적 흐름에 맞춰 국립초등학교의 신입생 모집도 다자녀를 우대하는 방향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장은 이를 위해 원서 접수 후 추첨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전국 국립초등학교에 △다자녀 입학전형 도입 △다자녀 전형 모집인원 확대 △특별전형(다자녀 전형) 추첨에서 선발되지 못한 경우 일반전형에서 추첨 기회 재부여 등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할 것을 건의했다. 한편, 이번 건의안은 가까운 시일 내에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공식 건의문으로 소관 부처인 교육부에 제출될 예정이다.
-
대구시의회 교육위원회, 새해 첫 상임위 활동 시작
대구시의회 [리더스타임즈] 대구시의회 교육위원회는 2월 13일 부터 2월 20일까지 2025년 첫 상임위원회 활동에 들어갔다. 2월 13일 첫 회의에서'대구광역시교육청 경제·금융교육 활성화 조례안'을 포함한 5건의 안건을 심사하고, 14일부터는 대구시교육청의 주요 업무보고를 청취할 예정이다. 올해 주요 교육정책인 교육평가 혁신, 인공지능 교육센터 운영, 디지털교과서 도입, 늘봄학교 확대 시행 등의 계획과 추진 현황을 점검하며, 신학기 개학을 대비해 학교 현장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과 교육수요자 맞춤형 정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면밀히 살펴본다. 이어서 18일에 5개 교육지원청(동부․서부․남부․달성․군위)의 주요 업무보고를 듣고, 19일에는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부지 내에 위치한 대구녹색학습원(대구창의융합교육원의 소속기관)을 방문하여 대구창의융합교육원의 업무보고를 청취한 후 기후변화에 대비한 체계적인 환경교육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박소영 위원장은 “올해 교육청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정책들을 직접 듣고 점검하기 위해 주요업무 보고회를 개최하게 됐다”라며, “학령인구 감소, 교육재정 축소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우리 학생들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안전하게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올 한해도 교육위원회는 유관기관과의 간담회, 학부모 및 학생 대상 의견수렴과 현장 방문 등을 통해 다양한 교육수요자들의 목소리를 교육정책에 반영하여 대구교육이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의정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
대구시의회, 제314회 임시회 개회
대구시의회 [리더스타임즈] 대구시의회가 2월 11일부터 2월 21일까지 11일간 제314회 임시회를 열어 제·개정 조례안 등 20건의 안건 심의와 현장 방문 등의 일정을 예고하고 의정활동에 돌입한다. 대구시의회는 이번 회기에 제·개정 조례안 18건, 동의안 2건 등 총 20개의 안건을 심의한다. 심의 예정인 제·개정 조례안에는 ▲대구광역시 바르게살기운동조직 지원 조례안(이재화 의원, 서구2), ▲대구광역시 체육시설 관리ㆍ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하중환 의원, 달성군1), ▲대구광역시 스포츠클럽 및 생활체육지도자 지원 조례안(정일균 의원, 수성구1), ▲대구광역시 위기 임신 및 보호출산 지원에 관한 조례안(황순자 의원, 달서구3), ▲대구광역시 자동차 소음 관리 조례안(김태우 의원, 수성구5), ▲대구광역시 영농폐기물 수거・처리 지원 조례안(권기훈 의원, 동구3), ▲대구광역시 도시공원 및 녹지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성오 의원, 수성구3), ▲대구광역시 소프트웨어산업 진흥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김재용 의원, 북구3), ▲대구광역시 섬유·패션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박종필 의원, 비례), ▲대구광역시 공동주택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황순자 의원, 달서구3), ▲대구광역시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조경구 의원, 수성구2), ▲대구광역시교육청 경제·금융교육 활성화 조례안(손한국 의원, 달성군3), ▲대구광역시교육청 디지털 성범죄 예방 및 교육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이영애 의원, 달서구1)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원들이 발의한 조례안이 포함되어 있다. 2월 11일 10:00에 열리는 제1차 본회의에서는 개회식에 이어 회기 운영을 위한 제반 안건을 의결한다. 2월 12일부터 2월 20일까지 각 상임위원회는 조례안 등 안건을 심사하고, 각 실·국 및 공사·공단 등 산하기관 업무보고를 받으며, 대구육아종합지원센터, 대구전통시장진흥재단, 상화로 입체화 도로 건설현장, 녹색합습교육원 등 현장 방문도 실시한다. 2월 21일 10:00에는 제2차 본회의를 열어 5분 자유발언을 진행하며, 각 상임위원회별로 심사를 통과한 안건을 최종 의결한 후 제314회 임시회를 폐회한다. 이날 본회의에는 5명의 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준비 중이다. ▲시민의 먹거리댐을 구축하는 미래농업정책에 대한 제언(김원규 의원, 달성군2), ▲“어머니들의 어머니가 되자!”, 대구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촉구(윤권근 의원, 달서구5), ▲“건강은 질병의 휴가중”, 대구시 대상포진 접종지원 확대강화 촉구(김대현 의원, 서구1), ▲지역 뿌리산업(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촉구(이영애 의원, 달서구1), ▲“희망의 불씨를 화롯불로”, 대구시의 획기적 저출생 대책 촉구(황순자 의원, 달서구3) 관련 발언에 나설 예정이다.
-
대구시의회, 무안공항 사고 합동분향소 조문
합동분향소 조문 [리더스타임즈] 대구시의회 이만규 의장을 비롯한 시의원들은 12월 31일 16:00 안병근올림픽기념유도관에 마련된 무안공항 사고 합동분향소에서 헌화와 묵념을 하면서 희생자들을 애도했다. 이만규 의장은 “이번 참사로 유명을 달리하신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한다”며, “사고 수습을 위해 필요한 일이 있으면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개관 10주년 맞아 교육과정 전면 개편
생물다양성 체험교실 [리더스타임즈]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개관(2015년 6월 3일) 10주년을 맞이하여 기존 운영했던 생물다양성 교육과정을 생애주기 및 전문 교육 8개 과정으로 전면 개편한다고 밝혔다. 개편된 내용은 교육대상을 세분화한 생애주기 교육과 기관 특성이 반영된 전문 교육으로 구분된다. 생애주기 교육은 유아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수요자가 참여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 중점 교육, △기후환경-생물다양성 융합 교육, △인문역사-생물다양성 융합 교육, △문화예술-생물다양성 융합 교육 등 4개 과정으로 구성됐다. 아울러 대상, 주제, 교육 방법 및 일정 등에 따라 11개 세부 교육과정으로 나뉜다. 전문 교육은 중학생(자유학기제), 고등학생(고교학점제), 대학생, 대학원생, 관련 직업군 등을 대상으로 강사 및 기관 내부의 박사급 연구자들이 직접 강의와 실습을 전담한다. 일선 교육기관에서는 접하기 힘든 생태·환경 분야의 진로 및 전문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미래전문가 양성 교육, △준전문가 양성교육, △전문가 양성 교육, △재직자 역량 강화 교육 등 4개 과정과 이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 5개 교육과정으로 구성됐다. 이번 개편 교육과정은 3월 24일부터 학교·단체, 개인·가족 등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는다. 학교와 단체의 참가 신청은 담당자(054-530-0766)와 교육일정을 협의한 후 전자공문으로 접수를 받으며, 개인과 가족은 자원관 누리집 통합예약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현장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 유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새롭게 개편된 교육과정을 통해 유아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생애주기와 전문 교육을 통해 생물다양성과 환경의 소중함을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세계해사대학 재학생들 K-해사산업 현장을 견학한다
2024년 세계해사대학 재학생 방한연수 [리더스타임즈] 해양수산부는 3월 22일부터 3월 29일까지 8일간 세계해사대학(World Maritime University) 재학생 초청 연수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계해사대학 재학생 방한연수는 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각국의 해운‧항만 전문가로 활동할 학생들에게 우리나라의 해사정책과 해사산업 현장을 소개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자 2004년부터 매년 추진하고 있다. 작년까지 총 428명의 세계해사대학 재학생 및 교직원이 우리나라에 방문했으며, 올해에는 12개국 15명의 재학생 등 총 16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방한연수는 부산 신항 자동화 터미널, HD 현대중공업(울산), 삼성중공업 대덕연구소(대전) 및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울산) 등 산업 현장 견학, 한국해양대학교 및 한국해양수산연수원 등 해양 교육기관 방문, 우리나라 문화체험(서울, 경주) 등으로 구성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세계해사대학 학생들이 이번 연수를 통해 우리나라의 해운‧항만 산업현장을 직접 보고 경험하며, 차세대 글로벌 해사 전문가로서의 시야를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하고, 해운‧해사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
국내 최초 친환경(HDPE) 소재 어선 선보여-21D
‘카이브3호’ [리더스타임즈] 해양수산부는 친환경 소재인 ‘고밀도 폴리 에틸렌(HDPE)’을 활용한 시제 어선 ‘카이브3호’가 3월 21일(금) 부산에서 진수된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어선의 약 97%는 가격이 싸고 성형이 쉬운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으로 건조되었다. 하지만 건조 과정에서 다량의 분진과 악취가 발생하고, 수명이 다한 어선은 전량 소각·폐기할 수밖에 없어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환경친화적인 HDPE 소재 어선 건조를 위해 2024년 8월 '폴리에틸렌선의 구조 잠정기준' 제정하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했으며,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해 용접 기술 등 HDPE 소재 선박 건조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해 왔다.이번에 사용된 HDPE 소재는 건조 시 분진이나 악취의 우려가 없고, 부식이 없어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지 않으며, 재활용이 가능해 친환경 소재로 분류되고 있다. 2010년경부터 노르웨이 등 주요 국가에서는 HDPE를 이용해 선박을 건조하고 있으며, ‘카이브3호’는 해양수산부가 추진해 온 AI기반 어선안전 설계데이터플랫폼 개발 및 실증 연구개발(R&D) 사업의 성과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HDPE 소재 어선이다. 동 어선은 성능 시험에서 최대 속력 32노트(knot)를 기록하는 등 동일 규모의 FRP 어선(25노트)과 알루미늄 어선(30.7노트)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이며 FRP 어선의 대체 가능성도 확인했다. ‘카이브3호’ 진수를 하여 분석한 결과, HDPE로 건조할 경우 같은 친환경 소재인 알루미늄 대비 약 30% 저렴한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HDPE 소재가 널리 보급되면 효율적인 친환경 어선 건조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연구성과는 어선 건조산업을 친환경 산업으로 전환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어선 분야에 신기술과 신소재가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
어린이의 생각과 눈으로 대구의 모습 널리 알릴게요! 제10기 대구어린이기자단 발대식 개최
대구어린이기자단 발대식 사진 [리더스타임즈] 대구광역시는 3월 15일 대구 청소년수련원 대극장에서 발대식을 개최, 제10기 대구어린이기자단 공식 출범을 알리고 본격 활동에 돌입했다. 이날 발대식은 ‘꿈이 빛나는 순간 함께 만들어 가는 어린이 기자단’이라는 슬로건으로 △기자단 소개, △시 홍보대사, 스포츠 스타 등 축하 메시지, △제9기 어린이 기자단 우수기자 표창, △멘토와의 토크콘서트, △퀴즈 타임 등으로 다채롭게 진행됐다. 대구시는 어린이 기자단의 왕성한 활동을 위해 월 1회 현장 특별취재를 기획하고, 기사의 첨삭지도, 기자 소양 교육 등을 통해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더 큰 꿈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제10기 대구어린이기자단은 지난 1월부터 달성화석박물관, 2·28 민주운동 기념관, 대구iM뱅크파크 등 특별취재를 시작으로 대구의 여러 모습을 활발하게 취재 활동 중이다. 어린이 기자들이 직접 취재하고 작성한 기사는 매월 1회 종이신문으로 3,000부를 발행해 지역 내 초등학교, 공공도서관 및 박물관 등에 배부한다. 이외에도 매월 넷째 주 목요일에 ‘대구어린이신문에 온라인으로 게재된다. 대구어린이기자단은 매년 11월경 모집공고를 통해 선발하고 있으며 제10기 기자단은 대구 지역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210명이 선발됐다. 활동기간은 1년으로 2025년 1월부터 12월까지이다. 김진혁 대구광역시 공보관은 “어린이의 눈으로 대구의 생생한 소식들을 전해주길 바라며, 어린이 기자들이 세상을 보는 시야를 넓혀 자기 성장의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화
-
대구오페라하우스, 앵콜 공연 '헨젤과 그레텔' 30% 얼리버드와 삼삼오오 가족 할인, 놓치지 마세요!
대구오페라하우스, 앵콜 공연 '헨젤과 그레텔 [리더스타임즈] (재)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오페라하우스는 가정의 달 5월 공연 예정인 2025 기획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을 30% 할인된 금액으로 만날 수 있는 얼리버드(조기예매)를 3월 18일부터 4월 1일까지 진행한다. 5월 23일, 30일, 31일 공연은 전석 매진으로 얼리버드 할인은 5월 24일 공연에 한해 적용된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지난해 ‘호쿠스! 포쿠스!’ 마법 주문을 함께 외우며 어린이 관객들의 뜨거운 환호를 받았던 어린이·가족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을 앙코르 공연한다. 이번 공연은 그림 형제의 동화를 원작으로 하며 독일 작곡가 훔퍼딩크가 그의 동생 베테의 대본에 곡을 더해 만든 ‘동화 오페라’이다. 어린 시절 동화책으로 만났던 ‘헨젤과 그레텔’의 이야기를 아름다운 선율의 음악과 볼거리 많은 무대를 통해 입체적으로 다시 만나게 된다. 국내 유일 오페라 제작극장으로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신비로운 멜로디와 환상적인 오케스트레이션이 더욱 돋보이는 무대를 선사한다. 그리고 어린이와 가족 대상의 눈높이 공연을 통해 몰입도를 높인다. 총 4회로 예정된 ‘헨젤과 그레텔’은 교육청과 연계해 5월 23일, 30일, 31일 3회 공연이 전석 매진되며 뜨거운 인기를 입증했고, 5월 24일 공연에 한해 얼리버드(조기예매) 및 삼삼오오 가족 특별할인을 진행한다. 얼리버드는 30% 할인된 금액으로, 삼삼오오 가족 특별할인은 3인 3장, 5인 5장 동시 예매 시 각각 30%, 50% 할인된 금액으로 예매할 수 있다. 정갑균 대구오페라하우스 관장은 “따뜻한 봄날,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만나는 ‘헨젤과 그레텔’ 앵콜 공연을 통해 동심의 세계를 꿈꿔보며 가족 간의 즐거운 추억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하며, “아름다운 하모니와 다양한 볼거리 등으로 오페라 저변 확대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2025 대구오페라하우스 어린이·가족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의 얼리버드(조기 예매)는 3월 18일(화)부터 4월 1일(화) 23시 59분까지이며, 삼삼오오 가족 특별할인은 공연 전까지 계속된다. 티켓은 VIP석 7만 원, R석 5만 원, S석 3만 원, A석 2만 원으로, 5세 이상 관람할 수 있다. 예매 및 할인 정보는 대구오페라하우스 홈페이지(https://www.daeguoperahouse.org/)와 인터파크 홈페이지(tickets.interpark.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한국 초연! 오직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만 볼 수 있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메타오페라 'Amopera(아모오페라)'
메타오페라 [리더스타임즈] (재)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오페라하우스는 2025년 첫 시즌 공연으로 클랑포룸 빈과 니드컴퍼니의 협업으로 탄생한 메타오페라 ‘Amopera(아모오페라)’를 3월 22일 23일 양일에 걸쳐 선보인다. 2025년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불가리아 공연을 시작으로 에스토니아 국립극장과 업무협약 및 7월 사아레마 오페라축제 진출을 확정했고, 최근 이탈리아에서 선보인 자체 제작 오페라로 큰 성공을 이끄는 등 국제 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 오페라의 뜨거운 열기와 함께 국내에서는 한국 최초로 선보이는 콘서트오페라 ‘Amopera(아모오페라)’를 시즌 첫 초청공연으로 선정하고, 관객들을 맞이한다. 2025 콘서트오페라 ‘Amopera(아모오페라)’는 오스트리아의 현대음악 전문 연주단체인 ‘클랑포룸 빈’과 벨기에의 국제적인 예술집단인 ‘니드컴퍼니’의 협업으로 탄생한 메타오페라이다. 클랑포룸 빈은 10개국 출신의 25명의 음악가들로 구성된 단체로 현대 음악계의 빈 필하모닉이라 불리며 독특한 사운드를 통해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그리고 2014 베니스비엔날레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얀 라우워스가 이끄는 니드컴퍼니는 예술적 요소들을 통해 새로운 시도와 실험으로 독창적인 작품들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홍콩, 대구, 도쿄 아시아 투어로 진행되며 한국에서는 초연이다. 지난 100여 년에 걸쳐 오페라 역사에서 나온 단편들을 모아 재구성한 작품으로 오페라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섞이며 생겨나는 연관성이나 의미를 새롭게 각색한다. 따라서 공연 안에서 음악적, 시각적, 문학적인 요소들이 서로 충돌하며 만들어내는 현장은 관객들을 매료시키는 동시에 낯설고 생소한 경험을 하게 한다. 한편, ‘Amopera(아모오페라)’는 두 가지 의미를 담아 관객들에게 이야기를 전한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Amor opera(사랑 오페라)’로 해석하여 ‘사랑’에 대한 내용을 짐작하게 하지만, 아름답고 순결한 사랑보다 질투나 배신, 광기와 같은 사랑의 어두운 면을 조명한다. 두 번째 의미는 ‘I am opera(나는 오페라)’이다. 무대 위의 가수, 연주자, 무용수 등 모두가 스스로 존재감을 드러내 보이며 오페라를 만드는 사람들이 곧 오페라로 인식되는 확장된 의미를 담아낸다. 정갑균 대구오페라하우스 관장은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를 선도하는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한국 최초로 선보이는 이번 공연을 통해 현대오페라, 메타오페라를 경험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대구오페라하우스 역시 새로운 오페라 창작에 힘써오고 있기에 ‘Amopera(아모오페라)’는 오페라 장르의 새로운 창작과 확장에 있어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올해의 첫 콘서트오페라 ‘Amopera(아모오페라)’는 얀 라우워스 예술감독과 팀 앤더슨의 지휘 아래 소프라노 사라 마리아 선과 바리톤 홀거 팔크, 니드컴퍼니의 그레이스 창, 마틴 세헤르스, 폴 블랙맨, 그리고 앙상블에 클랑포룸 빈이 함께한다. 초연의 성지로 자리매김한 대구오페라하우스 초청의 ‘Amopera(아모오페라)’는 3월 22일(토) 오후 5시, 23일(일) 오후 3시에 공연한다. 특히, 3월 17일(월)부터 22일(토)까지는 ‘S석 만원의 행복’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공연 예매는 대구오페라하우스 홈페이지(www.daeguoperahouse.org) 'http//www.daeguoperahouse.org)', 인터파크(https://tickets.interpark.com)를 통한 온라인 예매 및 전화(☎1661-5946) 예매를 통해 가능하다. 티켓은 VIP 7만 원, R석 5만원, S석 3만 원, A석 2만 원이다.
-
대구오페라하우스, 오페라 본고장 이탈리아에서 큰 성공! 자체 제작 오페라로 해외 공연 성료 및 글로벌 위상 강화
유네스코 본부 간담회 사진 [리더스타임즈] (재)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지난 2월 28일과 3월 2일에 이탈리아 페라라시립극장에서 자체 제작한 오페라 ‘안드레아 셰니에’를 성공적으로 선보이며 현지의 뜨거운 반응과 함께 한국 오페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대구오페라하우스 '안드레아 셰니에', 이탈리아 관객을 매료시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이탈리아 페라라시립극장에서 이탈리아 작곡가 움베르토 조르다노의 대표 작품인 ‘안드레아 셰니에’를 두 차례 공연하며 현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이번 공연은 대구오페라하우스가 자체 제작하여 강렬한 연출과 섬세한 감정 표현, 웅장한 오케스트라의 조화가 돋보이며 현지 언론의 극찬을 받았다. 특히, 이 작품은 극적인 서사와 풍성한 음악적 요소가 어우러져 높은 음악적 완성도를 필요로 하는 만큼, 세계적인 오페라 무대에서도 난이도 높은 연주 작품으로 평가받아 왔다. 난이도 있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대구오페라하우스가 선보인 이번 공연에서는 수준 높은 완성도를 입증하며 유럽 오페라 무대에서 한국 자체 제작 오페라를 매우 성공적으로 선보이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한편, 이탈리아 현지 극장에서 한국 제작 오페라가 공연되는 것은 흔치 않은 사례이기 때문에 관객들에게 신선하고 새로운 자극을 제공하기도 했다. 공연이 끝나자 관객들은 기립박수를 보내며 열정적으로 화답했고, 한 관객은 “유럽 무대에서도 손색없는 완성도 높은 무대였다. 가수들의 강렬한 감정 표현과 압도적인 가창력에 감동했다”고 극찬했다. 출연진들도 이번 공연에 대한 남다른 감회를 전했다. 주역 테너는 “오페라의 본 고장인 이탈리아에서 한국의 제작 오페라로 관객들을 만나게 되어 가슴 벅찬 무대였다”며,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 더욱 공연에 깊이 몰입하게 됐고, 좋은 결과로 이어졌던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공연은 단순히 작품을 선보이는 것을 넘어,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대구의 공연 예술 역량을 세계 무대에서 입증하는 중요한 계기였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앞으로도 자체 제작 오페라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며, 대구가 국제적인 공연 예술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적극적인 글로벌 행보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들과 협력 강화, 문화예술 네트워크 확대 이번 이탈리아 공연이 시발점이 되어,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를 이끄는 대구오페라하우스는 해외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들과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국제 문화예술 교류 기반을 넓히는데 주도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대구오페라하우스의 주최로 페라라 시청에서 열린 공식 회의에서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박순태 원장, 대구시 최미경 문화예술정책과장, 대구오페라하우스 정갑균 관장 등이 참석해 페라라 부시장 및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볼차노, 페사로, 볼로냐) 대표들과 문화예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은 공연 예술을 통한 국제 교류 활성화를 강조하며, 창의도시 간 공동 프로젝트 추진을 제안했다. 각 도시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협업 모델을 구체화하며, 향후 공동 제작 프로젝트, 예술가 교류, 공연 공동 기획 등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유네스코 문화유산 도시로 지정된 페라라는 문화유산을 보존하며 예술과 창의성을 융합하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오고 있는데 이번 만남을 통해 대구와 페라라, 그리고 음악창의도시 간의 적극적인 교류를 밑거름 삼아 지속 가능한 문화적 가치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대구오페라하우스,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 간담회 개최로 글로벌 교류 강화 이탈리아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대구시 대표단과 함께 3월 4일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 본부를 방문해, 국제 문화예술 교류 확대를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자체 제작 오페라의 해외 진출 성과를 공유하고, 공연 예술을 중심으로 한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했으며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간 네트워크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편, 대구시는 이번 방문을 통해 대구의 문화예술 정책을 소개하고, 2025년 10월 대구에서 개최되는 ‘대구 글로벌 포럼’에 UCCN 대표단을 초청할 계획을 밝히며, 창의도시 간 협력 강화에 대해 논의도 함께 진행했다. 정갑균 대구오페라하우스 관장은 “이탈리아 페라라에서 펼친 대구오페라하우스 자체 제작 오페라 '안드레아 셰니에'는 대구오페라하우스의 수준 높은 기획과 제작 역량을 해외에서 입증하는 중요한 기회가 됐다”며, “성공적인 공연을 발판 삼아 대구오페라하우스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국내 유일 오페라 제작극장이자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대구를 대표하는 문화예술의 중심으로 입지를 굳건히 다질 것이다”고 말했다. 박순태 대구문화예술진흥원장은 “페라라와 파리에서 진행했던 간담회를 바탕으로 단순한 도시 간 교류를 넘어, 창의도시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의미 있었다”고 전하며 “앞으로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이 도시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선진적인 국제협력에 앞장서며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이번 해외 진출로 국제적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으며 국내에서 펼치는 다양하고 수준 있는 오페라와 제22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를 통해 안팎으로 내실을 단단히 할 예정이다. 따라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의 중심으로서 한국 오페라 발전과 밝은 미래를 위해 끊임없이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행보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
대구오페라하우스와 함께 할 멤버십 회원을 모집합니다! 일반 멤버십 '오페라 마니아' / 특별 멤버십 '골드', '블루'
대구오페라하우스와 함께 할 멤버십 회원을 모집합니다! 일반 멤버십 '오페라 마니아' / 특별 멤버십 '골드', '블루' [리더스타임즈] (재)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오페라하우스는 2025년 새롭게 대구오페라하우스의 공연, 아카데미, 멤버십 회원 대상 특별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멤버십 서비스를 전면 개편해 운영한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오페라에 관심 있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대구오페라하우스 멤버십’의 한층 더 개선된 운영방향을 선보이며 회원을 모집한다. ‘대구오페라하우스 멤버십’은 오페라 진입기 팬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 멤버십 ‘오페라 마니아’와 오페라 애호가를 대상으로 하는 특별 멤버십 ‘골드’, ‘블루’로 진입 단계별 서비스로 개편해 운영된다. 아울러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멤버십 제도를 통해 귀빈실 이용 혜택(다과 제공, 귀빈실 내 티켓 별도 수령) 및 오페라 애호가 커뮤니티 행사인 ‘오페라 데이’ 개최, 대구오페라하우스 아카데미 할인 혜택, 대구국제오페라축제 개막식 초청 등 보다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일반 멤버십인 ‘오페라 마니아’는 부담 없이 대구오페라하우스의 공연과 프로그램을 경험해 보고자 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서비스로 가입 기념 선물 및 전용 카드가 발급되며 대구오페라하우스 공연 일정 안내와 함께 기획공연 상시 할인 혜택(30%), 대구오페라하우스 아카데미 수강 할인 혜택(10%)이 제공된다. 특별 멤버십인 ‘골드’와 ‘블루’는 일반 멤버십 혜택과 더불어 공연 당일 귀빈실 이용 혜택(다과 제공, 귀빈실 내 티켓 별도 수령)과 함께 무료 주차를 지원한다. 그리고 대구오페라하우스 기획공연 패키지(티켓+프로그램 북 구성), 오페라 애호가를 위한 커뮤니티 행사인 ‘오페라 데이’ 초대권을 제공하고 등급에 따라 대구국제오페라축제 개막식 초청 및 축제 기념품을 제공하는 등 보다 다채로운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새로운 혜택과 서비스로 재단장한 멤버십 운영을 통해 지역을 비롯해 국내외 오페라 애호가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관객들의 니즈를 신속하게 파악해 단계별 서비스 정책을 펼치며 오페라 장르의 진입 장벽을 완화한다. 또한 국내 유일 오페라 제작극장이자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를 이끄는 대구오페라하우스로써 극장과 함께하는 관객들이 공연장을 편리하게 이용하고, 친숙하게 느끼며 꾸준히 찾아올 수 있도록 유럽 극장형 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갑균 대구오페라하우스 관장은 “대구오페라하우스에 항상 큰 힘이 되어주시는 오페라 애호가를 비롯한 관객들을 위해 멤버십 서비스를 새롭게 개편하여 다양한 혜택으로 보답하고자 한다. 올해 선보이는 대구오페라하우스 기획공연과 제22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에도 함께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대구오페라하우스 멤버십 신청은 대구오페라하우스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방문 접수도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오페라하우스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교육
-
김포교육지원청, 2025학년도 부설 영재교육원 및 발명교육센터 개강식 개최
김포교육지원청, 2025학년도 부설 영재교육원 및 발명교육센터 개강식 개최 [리더스타임즈] 김포교육지원청은 21일 ‘2025학년도 부설 영재교육원 및 발명교육센터 개강식’을 개최하였다. 이번 개강식은 2025학년도 영재교육원과 발명교육센터에 선발된 학생들을 축하하는 자리로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교육과정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이날 개강식에는 영재교육원 교육생 78명, 발명교육센터 교육생 60명, 지도교사 및 학부모가 참석하였으며, 교육대상자 허가 선언, 대표학생 선서, 지도교사 소개 및 위촉장 수여, 교육장 축사, 영재·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안내했다. 김포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은 초등 4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총 12개 학급으로 운영되며,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발명교육센터는 초등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 총 4개 학급으로 운영되며, 창의적 발명 사고력 및 실무 능력 개발을 중점적으로 지도한다. 김영리 교육장은 “이번 개강식을 시작으로 1년 동안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을 탐색하고 창의적인 연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미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번 개강식을 시작으로 김포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과 발명교육센터는 본격적인 교육과정에 돌입하며, 학생들의 창의적 연구활동과 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
대구남부교육지원청, 두뇌기반 학습코칭단 워크숍 개최
두뇌기반 학습코칭단 워크숍 [리더스타임즈] 대구남부교육지원청는 3월 20일 남부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2025학년도 두뇌기반 학습코칭단 워크숍’을 개최했다. 남부교육지원청이 추진하는 학생 개별 맞춤형 기초학력 향상 지원 사업의 하나인 ‘두뇌기반 학습코칭단(이하 코칭단)’은 대구시교육청에서 지난해 12월부터 구축한 ‘학습코칭 조기 지원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이 코칭단은 경계선지능 학생을 포함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학습력 향상을 위해 두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 특성을 세밀하게 진단ㆍ분석한다. 이를 통해 ▲인지능력, ▲정서관리, ▲동기향상 등 3가지 영역별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코칭단이 직접 학교로 방문하여 개별화된 학습코칭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코칭단 32명이 참석하여 효과적인 학습코칭 서비스 운영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 계획을 협의했다. 또한 2024학년도 우수사례 특강이 진행됐으며, 기존과 신규 코칭단이 서로의 멘티ㆍ멘토가 되어 노하우를 주고받는 시간을 가졌다. 아울러, 학습코칭과 발전을 위한 자율 연구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남부코칭단전문학습공동체’를 발족하여 1년간 자율적으로 모이며 학습코칭 사례와 기술을 나누게 될 예정이다. 류호 교육장은 “학생들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학습코칭단이 열정적으로 지원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교육부, 글로컬대학 제3차 혁신지원 토론회 개최
교육부 [리더스타임즈] 교육부는 3월 18일 세종청사에서 ‘글로컬대학(2024년 지정) 제3차 혁신지원 토론회’를 개최했다. 교육부는 대학 안팎의 벽을 허물고 특성화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지역대학을 육성하여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0개 혁신모델(31개교)이 글로컬대학 혁신모델로 지정되어 행·재정적 지원을 토대로 혁신을 실현해 가고 있다. 교육부는 글로컬대학을 규제혁신의 시험대(Test-bed)로 삼아 다양한 규제특례를 지원하고, 이를 토대로 법령 및 제도를 개선하여 혁신 모델과 성과를 전체 대학으로 확산하고 있다. 특히 글로컬대학 혁신지원 토론회는 글로컬대학이 다양한 혁신모델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혁신 난점을 공동으로 해결하고 성과를 고도화하기 위해 교육부-글로컬대학 간 공동의 문제해결형 합의체(거버넌스)로서 추진 중이다. 3차 토론회는 국립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남해대-한국승강기대(통합·연합), 국립목포대와 함께 진행했다. 국립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남해대는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를 계기로 국립 일반대학-공립 전문대학 간 통합 및 한국승강기대와 연합을 통해, 국가산단의 핵심 연구개발(R&D)부터 고급·산업기능인력 양성 수요에 종합적으로 대응한다.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등 연구기관과 대학이 융합된 ‘특성화과학원’을 설립하여 연구 역량 제고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공 간, 대학-연구소 간, 대학-산업체 간 이중 소속(Joint Appointment) 교원 근거 마련 등 다양한 규제개선 과제를 제안했다. 국립목포대는 친환경 무탄소 선박과 그린 해양에너지 분야의 역량을 토대로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해양 특성화 대학으로 거듭난다. 글로벌 과학공원(사이언스 파크)을 중심으로 글로벌 연구센터(Only-1)를 설치·운영하고, 전문대학인 전남도립대와의 통합으로 전 주기적 기술·기능인력 양성에 집중한다. 이 과정에서 대학-전문대학 통합운영을 위한 대학의 전문학사 학위 수여 법적 근거 마련 등 규제개혁 과제를 제안했다. 특히, 글로컬대학 프로젝트를 통해 최초로 시도하는 통합대학의 전문학사 학위운영에 관해 논의했다. 기존에는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통합 시 전문학사 정원을 일반학사로 이관하여 경쟁력 있는 전문학사 학위과정도 일괄 폐지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지역 관점에서는 산업인력양성 중추인 고등직업교육을 위축시키고, 대학 관점에서는 우수한 전문학사 과정에 대한 포기를 강제하여 일반대학과 전문학사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통합대학에 한하여 특례를 적용하여 일반학사와 전문학사를 운영하는 방안, 캠퍼스 특성화 전략과 관련된 입시·재정지원 방식 등 세부 관리 방안을 함께 검토하여 일반대학-전문대학 통합을 희망하는 대학들이 활용할 수 있는 모델과 액션 플랜을 연내 제시할 예정이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글로컬대학 프로젝트로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도가 이뤄지고 있으며,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지자체가 함께 실현하고 있다.”라고 말하며, “대학들이 특성과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글로컬대학과 함께 다양한 선도모델을 창출하겠다.”라고 밝혔다.
-
국립대구과학관 고교학점제 본격 운영 첨단·기초과학 분야 강좌 개설, 미래 인재 양성 박차
국립대구과학관 고교학점제 본격 운영 첨단·기초과학 분야 강좌 개설 [리더스타임즈] 국립대구과학관은 대구광역시교육청 고교학점제 지원 사업인 2025 학교 밖 꿈창작 캠퍼스 교육기관 공모사업에 선정돼, 최초로 고교학점제 강좌를 운영한다. 올해 처음 시행되는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맞춘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 중심의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다. 국립대구과학관은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고등학생들에게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3개 학기(1학기, 2학기, 겨울방학) 과정의 강좌를 개설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설되는 강좌는 첨단과학 분야의 ‘AI자율주행자동차’와 기초과학 분야의 ‘우주를 향한 질문’ 두 가지로 구성된다. 각 강좌는 12회차(34시간)로 진행되며, 2학점이 인정된다. 강의는 과학관 과학교육실 소속 연구원 및 전문 강사진이 담당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한다. 1. AI자율주행자동차(2학점):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기술인 자율주행자동차의 원리와 기술 동향을 배우고, 관련 기술을 직접 체험하며 미래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한다. 2. 우주를 향한 질문(2학점): 광활한 우주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탐구하고, 과학관 천문대 망원경을 활용한 천체관측 학습을 통해 우주과학 분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인다. 강좌별 수강인원은 15~20명으로 모집하고, 수강신청은 3월 20일부터 22일까지 대구공동교육과정 누리집을 통해 진행되며, 대구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2~3학년 학생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1학기 강좌 운영 기간은 4월부터 6월까지이며, 상세 내용은 대구공동교육과정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난희 국립대구과학관장은 “이번 고교학점제 운영을 통해 과학관이 가진 전문적인 인프라와 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미래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흥미를 갖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국립대구과학관은 앞으로도 다양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 지역사회 과학 교육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방송
-
‘불후의 명곡’ 윤명선, ‘BTS 신화’ 방시혁 발굴한 숨은 주역이었다!
사진 제공 | 불후의 명곡 [리더스타임즈] KBS2 ‘불후의 명곡’에서 윤명선이 ‘BTS 신화’ 방시혁과 박진영의 인연을 이은 장본임을 고백해 초미의 관심을 모은다. KBS2 ‘불후의 명곡’(연출 박형근 김형석 최승범)은 14년 가까이 동시간 시청률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명실상부 최고의 음악 예능 프로그램. 22일 방송되는 698회는 ‘작사-작곡가 윤명선 편’으로 꾸려진다. 이날 윤명선은 작곡가 활동 전, 과거 매니저로 활동한 일화를 고백해 이목을 집중시킨다. MC 신동엽이 매니저 활동 당시를 언급하자, 윤명선은 장동건, 박진영, 진주 등 입이 떡 벌어지는 라인업을 읊더니 '방탄소년단의 아버지' 방시혁과의 특별한 인연까지 언급해 현장을 발칵 뒤집는다. 윤명선은 “(방시혁의) 가요제 데모를 우연히 들었는데 너무 좋더라. 직접 찾아가서 설득하고, 작업실을 같이 만들어서 3년 있다가 박진영에게 소개했다”라고 전설의 시작을 고백, 모두를 깜짝 놀라게 한다. 뿐만 아니라 윤명선은 트로트 작곡에서 시작해 R&B, 록발라드, 댄스까지 지평을 넓히게 된 계기로 윤미래를 꼽아 더욱 흥미를 높인다. 윤명선은 “주변에서 당시 최고의 아티스트였던 윤미래에게 곡을 주면 작곡가로 인정하겠다고 해서 바로 곡을 만들었다”라고 운을 떼더니, “원래는 (곡을) 안 받겠다고 했지만 제 얼굴을 봐서 딱 한번 틀어줬는데, 다음날 타이거JK한테 연락이 왔다. 비틀즈의 ‘Let it be’ 같은 느낌이 있다고 하더라. 그리고서 바로 다음날 녹음을 끝냈다”라고 말해 명곡판정단의 박수를 받았다고. 이와 함께 윤명선은 슈퍼주니어의 ‘로꾸거!!!’ 녹음 당시를 회상한다고 해 궁금증을 유발한다. 윤명선은 “노래 녹음을 활기차게 했다. 멤버들 다 같이 들어가서 떼로 부르는데 다 윗옷을 벗고 있더라. 피가 끓으니까”라며 생생한 당시의 상황을 전해 모두를 빠져들게 한다. 이에 윤명선이 “녹음이 끝났을 때 우리는 다 반나체로 있었다”라고 덧붙이자, ‘로꾸거!!!’를 선보인 크래비티(CRAVITY)가 깜짝 센스를 발휘해 현장을 뜨겁게 달군다고 전해져 본 방송에 대한 호기심을 수직 상승시킨다. 한편, 이번 ‘작사-작곡가 윤명선 편’에서는 이승철부터 윤미래, 장윤정, 슈퍼주니어, 임영웅 등 장르불문 한국 현대 음악의 한 획을 그은 히트곡들을 탄생시킨 윤명선의 음악이 재 탄생된다. 각 장르 최고 아티스트와 작업해 온 윤명선인 만큼 각 분야의 내로라하는 가수 라인업 린, 정인X라디, 황치열, 신유, 다혜, 신승태X최수호, 크래비티(CRAVITY), 원위(ONEWE), 라포엠, 조째즈 등이 출연해 윤명선의 명곡을 자신만의 색깔로 재해석한다. 장르 불문 히트곡 제조기 윤명선의 명곡이 다시 태어나는 ‘작사-작곡가 윤명선 편’은 22일과 29일 2주에 걸쳐 시청자를 찾는다. 매회 다시 돌려보고 싶은 레전드 영상을 탄생시키는 ‘불후의 명곡’은 매주 오후 6시 5분 KBS 2TV에서 방송된다.
-
'천국보다 아름다운' 김혜자X손석구X한지민X이정은X천호진X류덕환, ‘상상 초월’ 서사와 관계성 예고! 6인 캐릭터 포스터 공개
사진제공= 스튜디오 피닉스·SLL [리더스타임즈] ‘천국보다 아름다운’ 시청자들을 웃고 울고 설레게 할 천상계(?) 캐릭터들이 출격한다. 오는 4월 19일(토) 첫 방송되는 JTBC 새 토일드라마 ‘천국보다 아름다운’(연출 김석윤, 극본 이남규·김수진, 제작 스튜디오 피닉스·SLL) 측은 21일 김혜자, 손석구, 한지민, 이정은, 천호진, 류덕환의 캐릭터 포스터를 공개하며 첫 방송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더 고조시켰다. ‘천국보다 아름다운’은 80세 모습으로 천국에 도착한 이해숙(김혜자 분)이 30대 모습으로 젊어진 남편 고낙준(손석구 분)과 재회하면서 벌어지는 현생 초월 로맨스다. 죽음이라는 인생의 끝에서 제2의 삶을 시작하는 이해숙의 천국 라이프가 유쾌한 웃음 너머 따뜻한 감동을 선사한다. 이날 공개된 캐릭터 포스터는 천국의 신입 주민 해숙과 그곳에서 그가 만날 인연들을 소개하고 있다. 먼저 단 한 컷만으로도 특유의 사랑스러운 존재감을 발산하는 김혜자는 ‘해숙’ 그 자체. 해숙은 제 나이 모습 그대로 도착한 천국에서 30대 모습으로 돌아간 남편을 재회하며, 팔십 평생 겪어보지 못한 경험과 느껴보지 못한 감정들 속에서 다이내믹한 천국 적응기를 펼쳐간다. “좋은 인연, 나쁜 인연, 그 모든 인연들이 쌓인 게 내 인생인 거지…”라는 의미심장한 문구에는 이승과 저승의 인연들, 그들로 이뤄진 인생에 대한 해숙의 통찰이 전해져 깊은 여운을 남긴다. 국민배우 김혜자의 관록과 연륜을 통해 완성될 이야기가 기다려진다. 그토록 기다리던 아내를 다시 만난 ‘낙준’의 눈빛에는 해숙에 대한 애정이 가득 묻어난다. 그는 지금이 가장 예쁘다고 말하던 때와 변함없이 같은 마음으로 한 사람만 바라보는 천국 최고의 사랑꾼 남편이다. 낙준의 다정한 눈길과 미소 위로 “내 곁에 당신이 있어서 참 좋다”라는 문구까지 더해져 보는 이들의 설렘을 자아낸다. 코믹, 휴먼, 멜로 등 다양한 장르의 연기부터 김혜자와의 ‘저 세상’ 케미스트리까지 선보일 손석구의 대체 불가한 활약을 기대케 한다. 한지민은 어느 날 갑자기 천국에 나타난 정체불명의 여인 ‘솜이’ 역을 맡았다. 자신이 누구고 어디서 왔는지 모든 기억을 잃은 채로 해숙, 낙준 부부를 찾아와 어쩌다 한집살이를 하는 인물. 해숙을 마주 앉아 바라보는 솜이의 반짝이는 눈동자에서 형언할 수 없는 감정들이 느껴진다. “무서워요. 이 기억 끝에 뭐가 있을지 몰라서…”라는 말처럼 그저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함이 밀려오는 것인지, 혹시 그 기억 끝에 자신도 모르는 슬픈 사연이 있는 것인지 궁금해진다. 이정은은 해숙을 부모이자 스승처럼 따르는 ‘영애’ 역을 연기한다. 해숙과 시장 골목을 누비며 어깨 너머로 일수 일을 배운 파트너 겸 후계자. 어린 시절 가족은 있어도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고, 그런 영애에게 진정한 가족이 되어준 사람이 해숙이었다. 해숙을 흐뭇한 미소로 지켜보는 표정 위로 더해진 “사장님도 천국 갈 거예요. 다른 사람들한테는 몰라도, 나한테는 착해요”라는 영애의 대사가 두 사람의 특별한 관계성을 암시한다. 셔츠와 조끼, 넥타이까지 전부 새하얗게 갖춰 입은 ‘천국지원센터장’ 역의 천호진의 존재감도 강렬하다. 센터장은 천국에서 일어나는 거의 대부분의 일들을 꿰뚫고 있는 ‘갓파더’ 같은 존재. 천국 주민들을 부드러운 카리스마로 안내하는 그는 특히 요주의 인물인 해숙을 예의주시한다. “천국은 영원히 사는 곳이 아니라 단지 머무는 곳이에요”라는 센터장의 설명은 그저 막연하게 상상만 해왔던 천국이라는 낯선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회개가 필요 없는 천국에서 가장 한가한 사람이라는 ‘목사’ 역은 류덕환이 맡아 열연을 펼친다. 만만치 않은 신도 해숙과 만났다 하면 ‘티격태격’ 이웃인지 원수인지 모를 관계로 얽히다가도, 두 사람은 서로에게 서서히 마음의 거리를 좁혀간다. “자매님이 오실 때마다 이번엔 또 뭘 같이 하게 될까 기대돼요”라며 해숙을 기다리는 일이 즐겁고 행복하다는 목사의 고백. 그의 무료했던 천국의 삶이 해숙을 만나 어떻게 변화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JTBC 새 토일드라마 ‘천국보다 아름다운’은 오는 4월 19일(금) 밤 10시 30분에 첫 방송된다.
-
‘마녀’, 종영까지 단 2회! 박진영, 노정의 곁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사진제공= 쇼박스, 미스터로맨스 [리더스타임즈] 박진영은 노정의 곁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종영까지 단 2회만을 남겨둔 채널A ‘마녀’의 엔딩에 시청자들의 기대가 뜨겁다. 채널A 토일드라마 ‘마녀’의 지난 방송에서는 동진(박진영)과 미정(노정의)이 오랜 시간을 돌아 마침내 마주했다. 동진은 “네가 잘못해서 일어난 일은 아니다. 이제 네가 하고 싶은 걸 해. 그래도 괜찮아”라며 오랫동안 마음에만 담아왔던 진심을 전했다. 열 마디를 넘지 않기 위해 손가락을 접으며 세던 것도 소용없어졌지만, ‘죽음의 법칙’이 자신을 덮치더라도 미정에게 꼭 해주고 싶었던 말이었다. 문제는 열 마디를 초과한 동진에게 위기가 빠르게 찾아왔다는 것이다. 동진이 이 ‘죽음의 법칙’을 피할 수 있는 변수는 단 하나, ‘미정의 마음’이다. 과거, ‘교회 오빠’ 익종(주종혁)이 미정에게 고백을 한 후에도 무사할 수 있었던 건, 그가 미정의 첫사랑이었기 때문이었다. 동진은 자신이 여기서 멈춘다면, 자신 역시 미정을 힘들게 했던 사람들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미정이 사랑하는 사람만이 법칙을 깰 수 있다는 그 하나의 가능성에 모든 것을 걸었다. 하지만 그를 향해 차량이 빠르게 돌진했고,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지난 방송이 끝을 맺었다. 이 가운데 9회 예고 영상에서 결국 동진의 실종이 암시됐다. 은실(장희령)은 동진의 유일한 친구 중혁(임재혁)에게 찾아가 “죽었을지도 모른다”라며 불안해하고, 중혁은 “나 그녀에게 간다”라는 문자 메시지만을 남긴 채 사라진 동진의 흔적을 찾기 시작한다. 두 사람이 발견한 단서는 모두 미정과 연관되어 있는 듯 보인다. 미정의 옥탑을 볼 수 있는 동진의 거처 창문에 적힌 “Shine on you”란 메시지와 동진이 모아둔 ‘번역 박미정’ 책들까지, 모두 미정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 게다가 9회의 부제가 바로 “Shine on you”다. 동진이 남긴 메시지가 어떤 의미인지가 최대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동진이 스스로 떠난 것인지, ‘죽음의 법칙’으로 인해 나타날 수 없는 상황인지 알 수 없는 가운데 시청자들은 ‘진정 커플’의 꽉 닫힌 해피 엔딩을 그 어느 때보다 응원하고 있다. 처음으로 헬멧을 벗고 미정 앞에 선 동진이 ‘죽음의 법칙’을 어겨가면서까지 하고 싶었던 말이 고백이 아닌 위로였다는 사실은 시청자들의 가슴마저 아릿하게 만들었다. 이에 제작진은 “아직 마지막 변수가 남아있다”고 귀띔하며, “‘마녀’가 종영까지 2회만을 남겨두며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완연한 봄이 오기 전 동진과 미정이 어떤 결말을 맞이할지 기대해달라”고 전했다.
-
‘마녀’ 노정의의 평범한 일상을 찾아주기 위한 박진영의 진심과 분투! 시청자 가슴 울려
사진제공= ‘마녀’ 영상 캡처 [리더스타임즈] 채널A ‘마녀’ 노정의를 향한 박진영의 사랑법이 주말 밤을 애틋함으로 물들이고 있다. 채널A 토일드라마 ‘마녀’의 동진(박진영)은 미정(노정의)에게 평범한 일상을 되찾아주겠다는 진심 가득한 결의로 잘 나가던 일까지 그만두고 고군분투중이다. 미정은 세상으로부터 ‘마녀’라 낙인 찍혀 사람과의 만남을 피하고, 인적이 드문 심야에만 외출하는 등 홀로 외로움을 견디며 은둔하고 있었다. 동진은 미정을 둘러싼 죽음의 법칙을 알아낸다면 그녀도 보통 사람들처럼 살게 될 수 있으리라 굳게 믿고 있다. 지난 방송에서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는 고백으로 애틋함을 폭발시킨 동진의 절절한 사랑법을 되짚어 봤다. #. 첫사랑을 향한 인생의 숙제 동진에게 미정은 자각하지 못했던 첫사랑이었고, 인생의 숙제였다. 과거 고등학교 시절 동진은 언제나 홀로 외진 곳만 찾아다니는 그녀가 신경 쓰여, 따가운 햇빛을 가릴 차양막을 설치하고, 학생들이 벤치에 새긴 ‘박미정 마녀’란 낙서를 열심히 지웠다. 그런 미정에게 인사 한 마디 건네지 못한 채 그녀를 떠나보낸 후, 대학에 입학해선 학기 중 여러 아르바이트를 해서 참고서와 인강 수강권을 마련했다. 고등학교 3학년을 마치지 못한 미정이 수능을 보길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그러나 방학을 맞아 내려간 고향 태백에 미정은 없었다. 이번에도 한 발 늦은 동진은 결국 “보고싶었다”는 마음을 자각하며, 처음으로 울음을 터트렸다. 시간이 지나 잊혔던 첫사랑은 엄마 미숙(장혜진)으로 인해 다시 한번 동진의 인생의 숙제가 됐다. 그 옛날 갈 곳도, 아는 사람도 없던 미정을 마을에서 내쫓아 마음 한 켠에 미안함과 죄책감을 가지고 있던 미숙은 아들이 쓴 오류투성이의 ‘마녀의 존재 부정’ 리포트를 읽고 또 읽으며 미정이 마녀가 아님을 굳게 믿었다. 그래서 죽음을 직감하고는 “미안하다고 꼭 좀 전해달라”는 유언을 남겼고, 동진은 “엄마의 간절한 바람처럼 내가 반드시 당신이 마녀가 아니라는 걸 증명하겠다”며 다짐했다. #. 업계 최고 데이터 마이너의 빅데이터 채굴 “만나야 할 사람은 언젠가 만나게 돼있다”던 미숙의 말처럼 동진은 10년 만에 운명처럼 미정을 다시 만났다. 미정은 여전히 세상으로부터 스스로를 단절시킨 채 외롭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녀에게 세상의 전부는 조그만 옥탑방뿐이었으며, 방송국 PD이자 유일한 친구 은실(장희령)의 도움을 받아 번역 일로 생계를 유지했다. 인적이 드문 새벽 시간 집을 나서 길고양이 밥을 주는 것이 외출의 전부였다. 그런 그녀를 지켜보며 동진은 마음이 저미듯 아팠다. 업계 최고 대우를 받는 데이터 마이너였던 동진은 자신이 제일 잘하는 걸로 미정의 저주를 풀 여정을 시작했다. 그녀와 연관된 사건사고를 조사했고, 피해자들을 만나 인터뷰를 해서 데이터를 수집, 통계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그가 도출해낸 가설은 다음과 같았다. 미정과 10m 안에 함께 있고, 대화를 주고받고, 그녀가 이름을 알고, 그녀에게 사랑 고백을 하면 위험하다. 또한, 이 법칙을 모두 어길 시에는 반드시 죽는다. 동진 역시 실제로 그녀가 있는 공간 10m 내로 접근하자 튕겨서 되감긴 줄자가 목에 스쳐 피가 나는 사고를 당했다. #. 죽음까지 무릅쓴 테스트 하지만 가설은 가설일뿐, 아직 파악하지 못한 오류의 가능성이 존재했다. 과거 기억에만 의존해 오류를 줄이는 데는 한계도 있었다. 이에 동진은 ‘죽음의 법칙’ 현재에도 적용되는지 직접 확인해봐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 테스트 대상은 바로 동진 본인이었다. 가설이 맞다면, 모든 전제조건을 갖춘 동진은 죽을 수도 있다. 그러나 주저하지 않았다. 위험을 예측하고, 또 다른 피해를 막아야만 미정이 다시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었다. 동진은 결국 마트 배달원으로 위장해 미정에게 다가섰다. 그런데 방송 직후 공개된 7회 예고 영상에서 동진이 미정의 집 앞에서 오토바이 사고를 당할 뻔하거나, 계단에서 넘어져 구르는 위험천만한 상황이 포착됐다. 동진에게도 죽음의 법칙이 발동된 것인지 불안감을 자아내는 대목. 과연 동진의 애절한 여정의 끝엔 어떤 결말이 기다리고 있을지, 4회 방송만을 남겨둔 ‘마녀’의 이야기에 애타는 기대가 증폭되고 있다. 채널A 토일드라마 ‘마녀’는 매주 토, 일 밤 9시 10분에 방송된다.
음악
-
정동원, 새 정규앨범 '키다리의 선물' 추가 티저 이미지 공개 "남성미 물씬"
[자료제공-쇼플레이엔터테인먼트] [리더스타임즈] 가수 정동원이 모델 아우라를 뽐내는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 정동원은 지난 27일 공식 SNS 채널을 통해 오는 3월 13일 발매되는 두 번째 정규 앨범 '키다리의 선물'의 추가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 총 네 장으로 구성된 이번 티저 이미지는 블랙 컬러를 강조한 성숙한 남성미로 눈길을 끌었다. 앨범 타이틀 '키다리'의 콘셉트를 살려 페도라 모자를 착용한 모습부터, 커다란 곰돌이 인형을 소품으로 활용한 모습까지, 같은 분위기 속에서도 각기 다른 매력을 선보였다. 특히 올림머리와 댄디한 블랙 슈트를 완벽하게 소화, 마치 프로 모델 같은 포스로 기존의 앳된 이미지를 벗고 한층 성숙한 모습으로 변신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정동원의 새 정규앨범 '키다리의 선물'은 지난 2021년 발매된 첫 번째 정규앨범 '그리움, 아낌없이 주는 나무' 이후 3년 만에 발매하는 정규 2집이다. 앞서 정동원은 부캐릭터인 JD1으로 활동하며 '에러 405(ERROR 405)’, '책임져' 등의 곡들로 K팝 스타로의 이미지 변신에 완벽히 성공했다. 또한 본업인 정동원으로서도 곡 발매와 예능 출연, 최근에는 첫 콘서트 실황 영화 '정동원 성탄총동원 더 무비'를 개봉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정동원은 오는 3월 28일 서울 첫 공연을 시작으로 ‘정동원棟동 이야기話화 3rd 전국투어 콘서트'를 개최하고 전국의 팬들과 만날 예정이다. 한편, 정동원의 두 번째 정규앨범 '키다리의 선물'은 오는 3월 13일 오후 6시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발매된다.
-
로코베리, 내달 2일 신곡 '물망초(勿忘草)' 발매! 조정석 M/V 출연 지원사격
.[사진 = 브라더후드 엔터테인먼트 제공] [리더스타임즈] 히트 프로듀서 로코베리의 신곡에 배우 조정석이 뮤직비디오 출연으로 지원사격한다. 로코베리(로코, 베리)는 오는 3월 2일 오후 6시 신곡 '물망초(勿忘草)'를 발매하고, 음원과 함께 뮤직비디오를 공개한다. '물망초(勿忘草)'는 로코베리가 지난 2023년 7월 발매한 '우산을 쓰고(Rain)' 이후 1년 7개월 만에 선보이는 신곡이다. 이번에 음원과 함께 해외 올 로케이션으로 촬영한 뮤직비디오를 제작, 한 편의 영화 같은 이야기로 입체적인 감정선을 전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물망초(勿忘草)' 뮤직비디오에는 배우 조정석이 남자 주인공으로 출연한다. 조정석은 로코베리를 위해 흔쾌히 데뷔 후 첫 뮤직비디오 출연을 결정했으며, 섬세한 감정 연기로 곡의 느낌을 배가했다는 전언이다. 조정석은 2004년 뮤지컬 ’호두까기 인형‘으로 데뷔한 이래, 뮤지컬 ’헤드윅‘, 영화 ’건축학개론‘, ’관상‘, ’파일럿‘, 드라마 ’질투의 화신‘, ’슬기로운 의사생활‘, ’세작, 매혹된 자들‘ 등 뮤지컬, 스크린, 브라운관을 오가는 꾸준한 작품 활동을 통해 독보적인 캐릭터 소화력과 진정성 있는 연기로 대중에 신뢰를 쌓아왔다. 조정석의 뮤직비디오 출연은 이번 로코베리의 '물망초(勿忘草)'가 처음이라 눈길을 끈다. 또한, 박원의 'All of my life(올 오브 마이 라이프)', 영화 '여자들', '보이(Boy)' 등을 연출한 이상덕 감독이 '물망초(勿忘草)' 뮤직비디오의 메가폰을 잡아 감각적인 영상미를 예고하고 있다. 로코베리는 드라마 '태양의 후예', '도깨비', '호텔 델루나', '괜찮아 사랑이야', '우리들의 블루스' 등 숱한 작품의 OST 명곡을 탄생시킨 '믿고 듣는' 프로듀서다. 각종 음악 차트에서도 꾸준히 존재감을 발휘하며 흥행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최근에는 로코베리가 직접 프로듀싱한 신인 가수 조째즈의 데뷔곡 '모르시나요'가 주요 음원 플랫폼에서 상위권으로 급상승해 주목 받고 있다. 또 한번 리스너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로코베리의 신곡 '물망초(勿忘草)'는 오는 3월 2일 오후 6시 각종 온라인 음원 사이트를 통해 발매된다. 조정석이 출연한 '물망초(勿忘草)' 뮤직비디오는 3월 2일 오후 6시부터 로코베리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
린, 콘서트 'Queen of Serenade' 2개월 전국투어 대장정 마무리…명품 보컬 저력 입증
[사진 = 325이엔씨 제공] [리더스타임즈] 가수 린(LYn)이 지난해 12월 28일 서울을 시작으로 부산, 대구, 대전에 이어 지난 15일 전주까지 2개월간의 2024-25 전국투어 콘서트 'Queen of Serenade (퀸 오브 세레나데)'를 성료했다. 'Queen of Serenade'는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담아 세레나데 같은 곡들을 불러드리겠다는 의미로, 린의 첫 번째 트로트 콘서트다. '현역가왕'과 '한일톱텐쇼'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트로트 곡과 발라드 곡까지 다양한 선곡으로 전국 각 지역의 팬들을 찾았다. 더욱 깊어진 감성과 보컬로 진정성 넘치는 희로애락이 담겨있는 무대를 완성하며 관객들의 오감을 만족시킨 린은 마지막 곡으로 지난해 12월 발매한 신곡 '시네마 천국'을 선곡하며 공연의 의미를 더했다. 린은 "팬분들이 보내주신 사랑에 오래오래 좋은 노래로 보답하는 가수가 되겠다"라고 전국투어를 마무리하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전국투어 콘서트 'Queen of Serenade'를 성공적으로 마친 린은 앞으로도 활발한 음악 활동으로 팬들과 만난다.
-
윤하, 20주년 콘서트 'GROWTH THEORY : Final Edition' 대장정 마무리! 사흘간 서울 앙코르 콘서트 성료
[사진 = C9엔터테인먼트 제공] [리더스타임즈] 가수 윤하가 20주년 콘서트의 대장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윤하는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서울 올림픽공원 KSPO DOME에서 앙코르 콘서트 'GROWTH THEORY : Final Edition(그로우스 띠어리 : 파이널 에디션)'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지난해 데뷔 20주년을 맞아 총 20회의 단독 콘서트를 성료한 윤하는 올해 첫 행보도 공연으로 시작했다. 이번 'GROWTH THEORY : Final Edition'에서 윤하는 지난해 발매한 정규 7집과 리패키지 앨범 신곡들을 가득 선보이며 음악 팬들에게 짙은 감동을 선사했다. '태양물고기'를 부르며 리프트를 타고 등장한 윤하는 '은화', '퀘이사', '케이프 혼'까지 신곡 무대를 연이어 펼쳤다. 또한, 노래 사이사이를 댄서들과 함께 인터루드 음악으로 채우며 한 시도 놓칠 수 없는 알찬 공연을 선보였다. 다채로운 신곡 셋 리스트로 귀 호강을 선사한 윤하는 '오르트 구름', '혜성', 'Parade(퍼레이드)', '사건의 지평선' 등 히트곡 라이브도 잊지 않고 가창했다. 특히 'Rock Like Stars(록 라이크 스타스)'는 기타 연주와 함께 무대를 꾸며 눈길을 사로잡았다. 데뷔 20주년이라는 뜻깊은 분기점을 팬들과 함께 꽉 채운 윤하는 이날 공연에서도 진심어린 감사 인사를 전해 훈훈함을 자아냈다. 이와 함께 앞으로의 행보를 더욱 기대하게 만드는 약속으로 역대급 커리어를 예고했다. 한편, 윤하는 최근 C9엔터테인먼트와 재계약을 체결하며 12년 인연과 의리를 입증했으며, 2025년에도 활발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대구
-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군부대 후적지에 대한민국 최초 의료클러스터 조성!”
회의 사진 [리더스타임즈]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3월 4일 대구광역시청 산격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군부대 후적지 중 제2작전사령부 부지에는 경북대병원, 의과대학, 치과대학, 의학연구소를 포함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의료클러스터를 만들어야 한다”며, “지역 의료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兆) 단위 사업인 만큼 국가 재정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소방안전본부에 대해서는 “최근 눈과 비로 산불 위험이 다소 줄어들었으나 방심하면 안된다”며, “특히 화재에 취약한 재래시장은 항상 대형화재 발생의 위험이 있는 만큼 상시적으로 점검해 화재 예방에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했다. 청년여성교육국의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재발방지 강화대책’ 보고 후,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발생시 인사조치 등 일벌백계할 계획이니 전 직원들은 이를 명심하고 처신해달라”고 강조했다. 문화체육관광국에 대해서는 “대구시 공무원들과 관계기관에서 고생한 덕분에 대회신기록이 나오는 등 2025대구마라톤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됐다”며, “내년에는 3월 첫째 주에 개최될 수 있도록 대한육상연맹과 조속히 협의하고 우승상금도 20만 달러로 상향해 명실공히 세계 7대 마라톤대회로 격상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세계적 축구클럽인 스페인 FC바르셀로나가 8월에 방한해 국내 프로구단과 2게임 정도 친선경기를 할 예정인데 주최 측에서 대구FC와의 친선경기 의사를 타진해 왔다”며, “대구의 도시브랜드 가치 향상과 대구시민의 자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는 만큼 친선경기가 반드시 성사될 수 있도록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경제국의 ‘대구 제2국가산단 예타 대응 총력’ 보고 후, “KDI 예비타당성 조사에 면밀히 대응해 4월 신속 예타 통과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라”며, “미래 신산업이 유치될 수 있도록 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라”고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지난해 11월, 나경원 국회의원의 행사 축사를 하면서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당이 대통령실과 사사건건 충돌한다면 박근혜 탄핵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고 경고를 한 적이 있다”며,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미래를 예측한 것인데 한 달 후 현실이 됐고, 앞으로 탄핵이 인용되거나 기각되더라도 정국 혼란은 계속될 것이다”고 말했다. 덧붙여, “정국 혼란 속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흔들림 없는 대구시정을 강조해 왔고 대구시 업무에 정통한 행정부시장 임명, 행정체계 개편 등 철저한 대비를 해왔다”며, “대구굴기의 핵심은 공직자들과 대구시민인 만큼, 정국에 흔들리지 말고 맡은 바 업무에 충실히 임하라”고 당부했다.
-
대구광역시, 제106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제106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리더스타임즈] 대구광역시는 제106주년 3·1절을 맞이해 오는 3월 1일 오전 10시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을 비롯한 광복회원, 보훈단체장, 기관·단체장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식을 개최한다. 기념식은 3.1절을 맞아 순국선열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고, 대구 미래번영과 하나된 대한민국을 위한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행사로 개최한다. 이번 기념식은 대구시의 희망찬 미래를 염원하는 의미를 담은 대구시립무용단의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국민의례, 독립선언문 낭독, 독립유공자 포상, 기념사, 기념공연,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기념공연은 대구시립극단에서 ‘봄을 기다리며’라는 주제의 창작뮤지컬을 선보인다. 이 공연은 대구·경북 출신으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펜을 들어 저항한 이상화, 이육사 두 의인들의 투쟁에 관한 이야기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피 흘려 싸운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되새길 수 있는 뜻깊은 공연이다. 제106년 3·1절 기념식에 앞서 오전 9시에는 국립신암선열공원에서 대구광역시장, 시의회 의장, 대구광역시 교육감, 보훈단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순국선열의 넋을 기리는 참배가 있으며, 정오에는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 대구광역시장, 보훈단체장, 광복회원 등 180여 명이 국권 회복을 위해 헌신하신 선열들의 위업을 기리고, 애국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타종행사를 개최한다. 한편, 대구시는 제106주년 3·1절과 대구시민주간*을 맞아 지난 2월 20일(목)부터 각 가정, 기업·단체와 주요 도로변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나라사랑 태극기 운동’을 전개해 민족자존과 국권회복을 위해 떨쳐 일어섰던 선열들의 위엄을 기리고, 나라사랑 및 대구사랑 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또한, 3·1절을 맞아 조국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독립유공자의 유족 및 생계곤란 손자녀에 대해 위문·격려하고, 2월 28일(금)부터 3월 2일(일)까지 3일간 광복회원과 독립유공자 및 동반가족 1인에 한해 대구도시철도 무료승차를 실시한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제106주년 3·1절을 맞아 조국 독립과 민족 번영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경의를 표한다”며, “3·1운동 정신과 이를 계승한 대구 시민정신을 바탕으로, 대구 혁신을 완성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지금의 국가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하나 된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
-
대구광역시, 10년 만의 시내버스 노선 개편 시행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 안내문 [리더스타임즈] 대구광역시는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대경선 개통과 신규 주택·산업단지 조성 등 도시환경 변화를 반영한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2월 24일 시행한다. 대구광역시는 지난해 10월 시내버스 노선 개편(안)을 마련해 주민설명회와 관계기관 협의 등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검토했고, 이를 최대한 반영한 최종 개편(안)을 지난 12월에 확정해 공개했다. 그 간 시내버스 노선 개편은 도시철도 1·2·3호선 개통과 함께 이뤄졌으며, 이번 4차 개편은 대구권 광역철도(대경선)·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선 개통, 대규모 주택단지와 신규 산업단지 조성 등 도시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15년 개편 후 10년 만에 시행하는 것이다. 이번 개편으로 직행·급행노선이 신설돼 장거리 통행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굴곡·중복노선 개선 등을 통한 시내버스 노선 운영의 효율화로 추가적인 재정지원 없이 대중교통 서비스를 개선하게 된다. 구체적인 노선 조정사항은 현 122개 노선(급행 11개, 간선 61개, 지선 50개) 중 존치 53개, 대폭 변경 22개, 일부 변경 32개, 폐지 15개, 신설 20개 노선이며, 노선 개편 이후 총 127개 노선(직행 2개, 급행 12개, 간선 60개, 지선 53개)을 운행하게 된다. 이번 노선 개편의 주요 내용은 외곽과 도심·외곽간 접근성 강화를 위해 직행 2개 노선(학정동~칠곡3지구~신기역~영남대, 국가산업단지~테크노폴리스~2.28기념중앙공원~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과 급행 3개 노선(칠곡경대병원역~삼국유사·소보면, 대천동~대곡지구~(앞산터널·범물터널)~용지역~반야월역)을 신설해 통행시간 단축과 소보면, 삼국유사면 등 시내버스 미운행 지역에 대한 교통서비스를 강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대구역~서부정류장(앞산공원, 월성동) 노선 신설, 서대구역~칠곡 간 노선 증설, 서대구역~평리뉴타운 간 노선 개선으로 서대구역 접근성을 크게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신암뉴타운·도남지구 등 택지개발 지역의 노선 증설, 봉덕동~남부도서관~송현동~상인동 간 연결노선 신설 등 신규 교통수요를 반영했고, 금호·세천지구 통학 불편 개선과 도시철도 1호선 하양연장등 도시철도와의 중복노선을 줄여 운행 효율화를 도모했다. 허준석 대구광역시 교통국장은 “신규 주택단지 조성 등 도시 공간 변화에 대응하고 불합리한 노선 조정 등 노선 효율화로 대중교통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을 시행한다”며, “시행 초기 시민들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버스 시설 정비와 노선 안내 등 시행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2월 24일 시행에 맞춰 △종합상황실 운영(2.19.~3.16./ 26일간), △현장안내요원 배치(2.20.~26./토·일요일제외 5일간, 500개 정류소(일500명)), △세대별 노선 안내 책자(총 112만 부) 및 전단지(30만 부) 배부, △노선개편 안내사이트 운영 등 대대적인 홍보와 안내 등을 통해 노선 개편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시민 혼란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모바일 주민등록증 대구 1호 발급 신청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모바일 주민등록증 대구 1호 발급 신청 [리더스타임즈]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모바일 주민등록증 단계적 전국 확대 시행 첫날인 2월 14일, 대구 1호로 남구 소재 행정복지센터에서 QR코드 촬영 방법을 통해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신청했다. 오늘부터 대구시에 주소를 둔 17세 이상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사람은 누구나 주민등록지 관할 구·군 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신청이 가능하다. 발급 방법은 다음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 신청한다. 첫째, 발급용 QR코드를 촬영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하는 방법으로 실물 주민등록증을 지참하여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면, 발급 비용 없이 즉시 발급된다. 둘째, 실물 주민등록증을 IC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으로 교체한 후, 휴대전화에 IC주민등록증을 접촉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직접 발급·재발급받을 수 있다. IC 주민등록증은 주민등록증 최초 발급 대상자가 신청하는 경우 무료이나, 기존의 실물 주민등록증을 IC 주민등록증으로 교체하여 재발급하는 경우에는 수수료를 내야 한다. 기존의 실물 주민등록증이 오래되거나 훼손 시 IC 주민등록증으로 발급받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두 방법 모두 발급을 위해서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설치가 필요하다. 행정복지센터 방문 전 앱을 설치하여 본인인증을 마치면 설치에 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신속하게 발급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 및 최신 보안기술 적용이 필요하여 3년마다 재발급을 받아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전국확대를 위해 2월부터 3월까지 광역자치단체를 3단계로 나눠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대구광역시는 1단계 대상 지자체에 포함돼 2월 14일부터 발급한다. 또한, 3월 28일부터는 전 국민이 주민등록지와 상관없이 전국 어디서나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보안성 강화를 위해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1대로 발급이 제한되며, 실명확인, 휴대폰 명의확인, IC주민등록증 소유 확인 및 안면인식 순서로 4단계 인증절차를 거쳐야 한다. 또한, 부정발급 예방을 위해 발급 시 본인에게 발급 사실이 즉시 통보된다. 실물 주민등록증을 분실신고하는 경우 실물 주민등록증과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효력이 모두 정지되며, 통신사에 휴대전화를 분실신고하거나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분실신고하는 경우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효력만 정지된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행정기관, 금융기관, 병원, 공항 등 실물 주민등록증이 사용되는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입신고, 여권 재발급 신청과 같은 다양한 전자정부서비스와 모바일 금융서비스 등 온라인·비대면 환경에서도 사용범위가 지속 확대될 예정이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1968년 주민등록증 최초 도입 이후 56년 만의 혁신으로, 많은 시민들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간편하게 발급받아 편리해진 일상을 체감하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구촌
-
아프리카 토고 시어버터로 빈곤해소 시어나무 숲 조성 착수
토고 savanes 지역 시어나무숲 사업대상지 [리더스타임즈] 산림청과 글로벌녹생성장연구소는 (현지시간) 28일 오전 아프리카 토고의 수도 로메에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를 통한 취약계층의 기후복원력 강화’ 사업 출범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출범식에는 카타리 포리 바지(Mr. Katari Fori Bazi) 토고 환경산림자원부 장관과 앙투안 레크파 지베그베니(Mr. Antoine Lekpa Gbegeni) 농업·마을 식수 및 농촌 개발부 장관을 비롯해 토고 정부 주요 관계자, 지방정부 시장 및 이해관계자 등이 참석해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아프리카 중서부 기니만에 위치한 토고는 세계 7위 규모의 시어버터 생산국으로, 연간 약 1만 3천톤의 시어 열매를 생산하고 있다. 시어나무 재배 면적은 약 38만 6천ha로, 이는 토고 국토의 6.8%에 해당한다. 시어나무 숲은 토양 유실 방지, 가뭄 저항성 증대, 토질 개선 등 기후변화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취약계층의 주요 생계 수단으로서 경제적 가치도 크다. 그러나 농경지 및 숯 생산을 위한 산림전용, 무분별한 벌목, 산림 관리 기술 부족 등으로 최근 10년간 토고의 산림 면적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어나무에 의존하는 취약계층의 생계 유지 또한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2027년까지 토고 4개 지역에 총 2,000ha 규모의 시어나무 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시어나무 숲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교육센터 4개소를 설립하고, 시어 열매 선별 및 수확 후 처리 가공 설비를 도입해 지역 내 청소년·여성 등 취약계층의 기술 역량 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토고의 기후변화 대응 및 주민소득 기여 등 의미 있는 성과를 통해 향후 아프리카 지역에서 한국의 산림 분야 협력이 더욱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캄보디아에 한국의 법제 발전 경험 소개
캄보디아 내각사무처와 법제교류협력 발전 방안을 논의중인 법제처 방문단 [리더스타임즈] 법제처는 캄보디아 내각사무처의 초청에 따라 12월 16일, 캄보디아 ‘법률 개혁 워크숍’에 참석하여 한국의 법제 발전 사례를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는 캄보디아 내각사무처, 경제재정부 소속 공무원과 원조기관ㆍ대학 소속 전문가 등 총 250여 명이 참석했다. 법제처 방문단의 참석은 지난 10월 31일 이완규 법제처장과 봉세이 비솟(VONGSEY Vissoth) 캄보디아 부총리 겸 내각사무처 장관이 법제교류협력을 주제로 진행한 면담에서 봉세이 비솟 부총리가 12월에 개최되는 캄보디아 ‘법률 개혁 워크숍’에 법제처 직원의 참석을 요청하고, 공식 초청 서한을 발송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번 법제처 방문단의 대표인 유철호 법제심의관은 12월 16일 캄보디아 ‘법률 개혁 워크숍’에 참석하여 한국의 법제 발전 사례로서 ‘경제 체제 전환 및 투자 촉진을 위한 규제 혁신’ 경험을 발표했다. 유철호 법제심의관의 발표에 이어 캄보디아의 법제 담당 공무원들이 한국의 사례에 대해 질문하고 캄보디아의 법제 발전을 위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법제처 방문단은 12월 17일, 씨 마오(SEA Mao) 내각사무처 사무차관 겸 법률위원회 부위원장을 만나 두 기관 간의 법제교류협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2025년 말에 아시아 법제기구 협의체를 설립할 수 있도록 앞으로 준비위원회에서 논의할 사항을 설명하고 협력을 약속했다. 이완규 법제처장은 “캄보디아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국가로서 앞으로 우리나라와의 경제 협력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법제처는 한국의 법제 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법제교류협력을 강화하여 캄보디아의 법제 발전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두 국가 간의 협력이 더욱 고도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볼리비아 감자 재배에 케이(K)-농기자재 투입 생산성 ‘쑥’ 기대
볼리비아 감자 재배 전주기 K-농기계 시연회 [리더스타임즈] 농촌진흥청은 12월 12일(현지 시간) 볼리비아 코차밤바 사카바시 지역에서 감자 재배 전(全)주기에 투입해 생산성을 끌어 올릴 것으로 기대되는 한국형 농기계 현장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볼리비아 농촌개발부 차관 등 농업 관계자와 현지 농기자재 수입상(바이어) 및 농업인 150여 명이 참석해 케이(K)-농기자재의 우수성을 직접 확인했다. 또한, 농기계 전문가 시연과 작동법을 눈여겨보며 큰 관심을 보였다. 이날 선보인 농기자재는 농촌진흥청이 기술이전 한 국내 6개 수출기업이 생산한 것으로, 볼리비아 기후환경에 적합한 감자 재배 농기계 10종이다. 특히 감자 파종기의 경우, 두둑과 이랑을 만들면서 동시에 파종도 가능해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감자 겉면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수확 작업도 빨라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감자 수확기에도 이목이 집중됐다. 플로레스 라소 볼리비아 농촌개발부 장관은 “볼리비아의 척박한 토양과 고지대 경사진 환경에 맞게 현지화한 한국형 농기계가 도입되면 감자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볼리비아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한국의 농업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등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현지 농기자재 수입상(바이어)과 농업인들도 한국형 농기계의 도입이 농작업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노동강도는 대폭 줄여 감자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농촌진흥청은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볼리비아 센터를 기반으로 농기자재 묶음(패키지)을 현지에 안정적으로 적용하고, 향후 중남미 지역 수출확산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수출농업지원과 위태석 과장은 “이번 시연회를 통해 한국형 농기자재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나아가 볼리비아의 감자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전환점을 마련했다.”라며 “이러한 성공 모형(모델)을 유사한 환경의 중남미 주변 국가로 확대해 새로운 수출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힘을 쏟겠다.”라고 말했다.
-
지구 반대편에서 선보이는 K-무형유산 공연 ‘놀다가세나’
'K-무형유산 페스티벌-놀다가세나' 살타 공연 포스터 [리더스타임즈]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은 11월 16일과 17일, 24일 총 3회에 걸쳐 아르헨티나 살타 중앙극장(Teatro Provincial Juan Carlos Saravia)과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 사르미엔토 문화센터(Palacio Libertad, Centro Cultural Domingo Faustino Sarmiento)에서 한국 무형유산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한 글로벌 교류 공연 'K-무형유산 페스티벌-놀다가세나'를 개최한다. 이번 '놀다가세나' 공연은 지난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초청공연’의 일환으로 아르헨티나가 한국에서 인류무형유산 ‘탱고’ 공연(국립무형유산원)을 선보인 데 이어, 교류 형식으로 이번에는 한국이 아르헨티나 현지에서 한국의 무형유산을 선보이는 것으로, 한국의 국립무형유산원과 주아르헨티나한국문화원, 아르헨티나의 연방정부 인적자원부, 살타 주정부가 공동 주최한다. '놀다가세나'는 한국 무형유산 공동체의 가치와 보유자의 삶을 공연으로 녹여낸 작품으로, 전통 연희(승무, 탈춤, 고성오광대 등)와 전통 음악(범패, 별신굿 등)이 현대 음악 및 춤사위와 결합한 무대이다. 앞서, 지난달 개최됐던 '2024년 무형유산축전, ‘화락연희’'를 통해 국내에서 첫 선을 보인 바 있다. 공연에는 국가무형유산 고성오광대, 은율탈춤, 북청사자놀음, 피리정악 및 대취타 종목의 이수자를 비롯해 ‘악단광칠’, ‘연희점추리’, ‘시나브로 가슴에’ 등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예술단체까지 총 26명의 출연진이 참여하며, 연출은 2024년 국립무형유산원 개막공연을 연출한 천재현 씨가 맡았다. 이번 공연은 살타 중앙극장에서 총 2회(11월 16일 오후 9시, 11월 17일 오후 8시) 진행되고,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국립 사르미엔토 문화센터에서는 11월 24일 오후 8시에 한 차례 개최된다. 한편, 아르헨티나에서 지정한 ‘김치의 날’(매년 11월 22일) 기념행사(11월 22일)와 한국 전통연희의 신명나는 매력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한국연희 한바탕’(11월 23일)도 국립 사르미엔토 문화센터에서 개최되는 만큼, 한국 무형유산의 가치와 우수성을 남미 지역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앞으로도 세계에 한국 무형유산의 가치를 알릴 수 있는 창조적인 무형유산 공연을 기획·제작하는 적극행정을 통해, 전 세계인이 우리 국가유산을 함께 향유하고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